|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J Health Info Stat > Volume 43(4); 2018 > Article
공공보건의료체계 발전 방안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empirically through a specialist AHP analysis what factors should be more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the public health care system. In addition, we will us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for experts to achieve research purpose.

Methods

The data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set up three metrics in order to measure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he factors to be improv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public health care system and each of the sub-factors. A total of nine measurements (items) were set by combining the three measurement criteria for each measurement index. Second,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analysis use the AHP analysis. Thir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 experts in the field of public health care. The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the Expert Choice 200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In order to development of the public health care system, experts ranked the most important as improvement in the systematic aspect of public health care (56%) as the first priority. Next, the relative importance analysis of the measurement items considering the multipleweights of the sub-factors is as follows. The strengthen institutional improvement (revitalization of secondary public function hospital) was the number one,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agencies was the second, and Re-establishing the role of local public health care system was the third place.

Conclusions

Considering the relative importance, factors that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the first place may not be improved as the best policy alternative due to limitations in spatial, temporal, financial, and institutional aspects. In this case, we suggest that we should choose the best policy alternative by using prioritization considering relative weights.

서 론

최근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인구비중은 2014년 기준 13%로 2018년에는 고령사회, 2026년 초고령 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되는 등 전 세계적으로 빠른 고령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1]. 이러한 인구 고령화 추세와 함께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의 유병률은 60-69세 노인의 경우 1998년부터 2012년까지 고혈압이 47.5%에서 54.0%로, 당뇨병 유병률이 18.9%에서 20.3%로 노인연령층에서 연령 및 연도에 따라서도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다[2]. 이러한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 등 의료 환경 변화에 따른 국민의료비 증가는 건강보험이나 의료보험 같은 공적 의료 보장 진료비가 2008년 39조 9,632억 원에서 2014년 60조 6,136억 원으로 연평균 7.2% 수준으로 가파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향후, 국민 의료비 부담이 더욱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3].
이렇듯 최근 우리나라는 인구의 고령화, 고혈압과 당뇨 같은 만성질환의 증가로 국민의료비의 증가와 같은 다양한 보건의료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면서 병이 걸린 후에 치료비나 의료비를 지원하는 것보다는 생활습관의 개선과 건강검진 등을 통한 질병의 조기발견 등 질병의 예방을 위한 공공보건의료 사업 및 정책이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만성질환의 증가와 치매를 포함한 정신보건, 응급의료체계의 확충 등 공공보건의료 분야가 담당할 역할의 확대도 필요하다. 이렇듯 오늘날 질병구조의 변화와 의료에 대한 접근성이 과거보다 훨씬 증가된 의료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공공보건의료기관의 역할도 변화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4].
최근 이러한 공공보건의료가 중요한 이유는 공공보건의료사업을 통해 지역주민들에게 질병에 대한 예방과 건강증진을 제공하여 의료수요의 감소와 함께 의료비 증가 억제에 기여하고, 또한 민간부문에서 실행하기 어려운 예방보건의료 등 공익적 보건의료서비스를 지역주민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최근 이러한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중요성이 급격히 증대되고 있다[5,6]. 따라서 질병구조 및 의료 환경 변화, 공공보건의료 분야가 담당할 역할의 확대 필요성 등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는 시점에서, 우리나라 공공보건의료체계에 대한 개선 및 발전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있다.
우리나라의 “공공보건의료법”(2018.06.14 법률 제15440호) 제2조에서 “공공보건의료”란 “국가, 지방자치단체 및 보건의료기관이 지역·계층 · 분야에 관계없이 국민의 보편적인 의료 이용을 보장하고 건강을 보호·증진하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라고 정의되어 있다. 이러한 공공보건의료와 이의 발전 방안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먼저, Bae [7]의 국가 공중보건의료체계에 대한 연구, Oh [8]의 우리나라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문제와 방향에 대한 연구, Gam [9]의 공공보건의료체계 현황에 대한 연구 등에서 이들 연구자들은 제도적 개선 강화, 공공보건의료 관련 기관 간 연계 협력 강화, 민간자원 활용 강화 등 공공보건의료의 체계적 측면에서의 개선 및 발전방안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또한, Han [10]의 공공보건의료기관의 의료서비스 관련 연구, Oh [8]의 우리나라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문제와 방향에 대한 연구, Gam [9]의 공공보건의료체계 현황에 대한 연구 등에서 이들 연구자들은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 예산 지원 및 공공보건의료 인력 확충 등 공공보건의료의 서비스영역 측면에서의 개선 및 발전방안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한편, Jeong and Lee [11]의 공공병원의 효율성 및 사회적 역할에 대한 연구, Sim and Hwang [12]의 공공보건의료사업 수행 관련 연구, Seok [13]의 공공보건의료 강화를 위한 연구, Oh [8]의 우리나라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문제와 방향에 대한 연구 등에서 이들 연구자들은 지역 공공보건의료체계의 역할 재정립, 공공보건의료의 기능중심 개편,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공공의료서비스 확대 등 공공보건의료의 운영활성화 측면에서의 개선 및 발전방안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여러 선행연구들을 종합해 보면, 공공보건의료체계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첫째, 공공보건의료 체계적 측면이 개선되어야 한다. 즉, 2차 공공기능 병원 활성화를 포함하여 제도적 개선 강화가 필요하고, 또한 기관 간에 연계협력 강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민간자원 활용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공공보건의료 서비스영역 측면의 개선이 필요하다. 즉,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고, 공공보건사업의 예산확대가 필요하며, 아울러 공공보건의료 인력이 확충되어야 한다. 셋째, 공공보건의료 운영활성화가 되어야 한다. 이는 지역공공보건의료체계의 역할 재정립이 되어야 하고, 업무중심에서 기능중심으로의 개편이 되어야 하며, 취약계층에 대한 공공의료서비스 확대가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14].
이렇듯 공공보건의료체계의 발전방안에 대한 각 요인에 대한 미시적 연구는 많지만 이처럼 공공보건의료체계가 발전하기 위한 여러 요인들을 검토하고 각 요인을 통합하여 거시적 측면에서 전문가들을 상대로 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을 한 조사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우리나라 공공보건의료체계에 대한 개선 및 발전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 제기되는 시점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보건의료체계의 발전방안 중에서 어떠한 요인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시되어야 하는지 또는 우선시되어야 하는지를 전문가 계층분석절차(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밝혀보고자 한다. 또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여 AHP 분석방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전문가 AHP 분석의 특성상 소수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이 연구의 조사 대상자 즉, 표본은 전국적인 표본으로 공공보건의료 분야 전문가 15명으로 선정하였다. 즉, 충청도, 서울, 경기도, 경상도 등 전국의 대학교에서 보건학 박사학위 및 공공보건의료 관련 강의나 연구를 경험하고 진행 중인 교수 15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8년 8월 20일부터 9월 5일까지 17일 동안 E-mail과 직접 방문 조사방법을 병행 조사하여 전체 15부 중에서 13부를 회수하였다.

연구 도구

이 연구는 서론에서 제시한 기존 문헌분석과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공공보건의료체계 발전을 위한 요인을 파악하여 반영하고, 여기에 Ahn [14]의 공공보건의료체계 개선에 대한 선행연구와 우리나라 공공보건의료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AHP 분석기법에 따라 측정목표-측정지표-측정항목으로 전체적으로 체계화 및 구조화시켜 Table 1과 같이 공공보건의료체계 발전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을 위한 연구의 측정지표를 제시하였다. 즉, 측정목표는 공공보건의료체계 발전을 위한 상대적 중요도로 설정하였고, 측정지표는 공공보건의료의 체계적 측면, 공공보건의료의 서비스영역 측면, 공공보건의료의 운영 활성화 측면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측정항목은 측정지표 각각의 요인에 대하여 3개씩 세부 하위요인으로 설정하였다. 첫째, 공공보건의료의 체계적 측면에는 제도적 개선 강화(2차 공공기능 병원 활성화 등), 기관 간 연계협력 강화, 민간자원 활용 강화로 설정하였다. 둘째, 공공보건의료 서비스영역 측면에는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 공공보건사업의 예산 확대, 공공보건의료 인력의 확충으로 설정하였고 셋째, 공공보건의료의 운영활성화 측면은 지역공공보건의료체계의 역할 재정립, 업무중심에서 기능중심으로의 개편, 취약계층에 대한 공공의료서비스 확대로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공공보건의료체계의 발전 방안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위한 설문 조사지를 구성하였고, 또한 설문을 사전에 받아 설문의 프리테스트를 통하여 연구의 내적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

이 연구의 자료 분석 방법으로 첫째, 공공보건의료체계 발전을 위하여 개선되어야 할 주요 요인과 각 세부 요인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3개의 측정지표 각 요인별로 3개씩의 측정기준을 합하여 총 9개의 측정(항목)기준을 설정하였다.
둘째,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분석은 앞에서 제시한 요인별 상대적 중요도 측정지표 및 측정기준 간의 상대적 중요성을 각각 두 개씩 상호 비교하는 이원비교(pairwise comparison)방법을 활용하는 AHP 분석기법을 활용하였다. 이원비교에서 사용된 척도의 범위는 1-9까지의 수와 그리고 이의 역수로써 각각의 문항별로 평가요소 간에 상대적 중요도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졌다. 또한 전체의 사례 수인 N개의 기하평균 값을 도출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측정한 후에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셋째, 이 연구의 조사 대상자, 즉 표본은 공공보건의료 분야 전문가 15명으로 선정하여 이를 대상으로 AHP 분석기법을 실시하였고, 통계처리는 Expert Choice 2000 (Expert Choice Inc., Pittsburgh, PA, USA)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넷째, 복합가중치를 고려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은 측정지표별 상대적 중요도 수치와 측정항목별 상대적 중요도 수치를 반영한 값으로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다섯째, 자료 분석의 신뢰성은 전문가 개개인의 판단상 오차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인 일관성 비율(consistency ratio, CR)을 참고하였는데, 일반적으로 CR은 그 값이 작을수록 판단의 일관성이 크다고 볼 수 있으며, 사회과학연구에서는 CR 값이 20% (0.2)보다 작을 경우 응답자가 상당히 일관성 있게 이원비교를 수행한 것으로 판단된다[15,16]. 이 연구에서도 각 계층별 가중치의 CR은 20% (0.2) 미만에 대해서만 상대적 중요도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회수된 설문지 총 13부 중에 CR 값이 20% (0.2) 이상인 3부를 제외하였고, CR 값이 20% (0.2) 미만인 10부에 대해서만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측정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

공공보건의료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적 요인에 대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측정지표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2와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위와 같이 전문가들은 공공보건의료체계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공공보건의료의 체계적 측면 개선(56%)이 1순위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였고, 공공보건의료의 운영활성화 측면 개선(26%)을 2순위로 중요시하였으며, 공공보건의료의 서비스영역 측면의 개선(19%)이 3순위로 개선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이와 같이 전문가들은 2차 공공기능 병원 활성화, 기관 간 연계협력 강화, 민간자원 활용 강화 등 공공보건의료의 체계적 측면의 개선이 최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측정항목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

공공보건의료체계 발전을 위한 정책적 요인에 대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측정항목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3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위와 같이 전문가들은 첫째, 공공보건의료 체계적 측면에서는 제도적 개선 강화(52%) (2차 공공기능 병원 활성화)가 1순위로 가장 중요시하였고, 둘째, 공공보건의료 서비스영역 측면에서는 공공보건사업의 예산확대(39%)가 1순위,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37%)을 2순위로 중요시하였으며, 셋째, 공공보건의료 운영활성화 측면에서는 지역공공보건의료체계의 역할 재정립(66%)을 1순위로 중요시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대체적으로 제도개선과 예산확대, 지역체계 재정립 등 하드웨어적인 개선을 전문가들은 중요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복합가중치를 고려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

공공보건의료체계 발전을 위한 정책적 요인에 대하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복합가중치를 고려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4와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위와 같이 복합가중치를 고려해 보면, 제도적 개선 강화(2차 공공기능 병원 활성화)가 1순위, 기관 간 연계 강화가 2순위, 지역공공보건의료체계의 역할 재정립이 3순위, 민간자원 활용 강화가 4순위로 중요시되고 있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볼 때,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공공보건의료체계가 개선되기 위해서는 전반적으로 제도적인 차원에서의 개선이 시급히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고찰 및 결론

이 연구는 공공보건의료체계의 발전방안 중에서 공간과 시간, 재정적 측면에서 모든 대안을 선택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어떠한 요인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시되어야 하는지 전문가 AHP 분석기법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밝혀서 공공보건의료체계 분야의 발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결과 우선, 전문가들은 공공보건의료체계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공공보건의료의 체계적 측면의 개선(56%)이 1순위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였고, 공공보건의료의 운영활성화 측면 개선(26%)을 2순위로 중요시하였으며, 공공보건의료의 서비스영역 측면 개선(19%)이 3순위로 개선되어야 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와 같이 공공보건의료의 체계적 측면의 개선(56%)이 1순위로 가장 중요하다고 결과가 도출된 이유는 현재 우리나라가 직면한 공공보건의료체계의 가장 시급한 개선이 공공보건의료기관인 국립대병원, 보건소, 보건지소 등의 기능적 확대를 위한 조직 신설 및 역할의 부여 등 관련제도의 개선이 필요하고, 공공보건의료기관 간 연계를 통한 진료정보의 제공, 공공의료사업에 대한 교육훈련 등의 상호 연계협력이 미흡하며, 공공보건의료의 의료제공은 공공과 민간으로 나뉘어있는데 민간부문이 거의 대부분의 의료제공을 하고 있어 공공부문은 이러한 민간부문의 자원을 활용하여 일정부분 공공부문의 역할수행을 권장할 필요성이 시급하다[14]. 때문에 공공보건의료의 체계적 측면의 개선을 1순위로 중요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하위요소인 측정지표별 측정항목들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 첫째, 공공보건의료 체계적 측면에서는 제도적 개선 강화(2차 공공기능 병원 활성화)가 52%로 1순위로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현재 공공보건의료기관의 수와 재정으로는 의료 환경 변화와 질병구조의 변화에 따른 공공보건의료 수요를 충족하기 어려워 지역사회에서의 2차 공공병원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이 미흡한 실정이다[17]. 따라서 이러한 수요 충족을 위해서 민간의료기관 등 이미 존재하는 공공보건의료 자원을 잘 활용하여 공공보건의료를 강화하려는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 개정 등 제도적 개선은 공공의료기관이 태부족인 한국적 현실에서 꼭 필요한 공공보건의료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14,17]. 따라서 공공보건의료 체계적 측면에서 제도적 개선 강화(2차 공공기능 병원 활성화)를 1순위로 중요시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공공보건의료 서비스영역 측면에서는 공공보건사업을 위한 예산확대(39%)를 1순위로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의료 환경의 변화, 만성질환의 증가, 인구의 고령화, 감염병 발생 등 공공보건의료사업의 필요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이 요구하는 공공보건의료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적절한 재정적 지원과 관리가 필요하나 현재 우리나라의 병원 운영상 공공보건의료기관이 공공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요구받기 때문에 시설, 장비의 현대화, 우수한 의료진(공중보건의사, 간호사 등)의 확보 등이 미비한 실정이다[9,14]. 이러한 이유로 다른 요인들보다 전문가들은 공공보건사업의 예산확대를 1순위로 중요시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공공보건의료 운영활성화 측면에서는 지역공공보건의료체계의 역할 재정립(66%)을 1순위로 중요시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이유는 의료 환경 및 질병구조의 변화 등 의료의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서 공공보건의료체계의 역할 및 기능이 재정립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공공의료체계가 공공의료 전문 역량 및 진료수준을 강화하고, 수익성 지향 대신에 공익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역할 및 기능이 시급히 재정립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13]. 이러한 이유로 다른 요인들보다 전문가들은 지역공공보건의료체계의 역할 재정립을 1순위로 중요시한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복합가중치를 고려한 분석 결과는, 제도적 개선 강화(2차 공공기능 병원 활성화)가 전체 측정항목 9개 중에 1순위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볼 때,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공공보건의료체계가 개선되기 위해서는 전반적으로 제도적인 차원에서의 개선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공공보건의료체계 발전방안에 대한 측정지표와 측정항목에서 우선적으로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요인들을 전문가 AHP 분석기법 방법을 통하여 측정지표별, 측정항목별로 상대적 가중치를 고려한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상대적 중요도를 고려하여 1순위로 중요하다고 도출된 요인이 공간적, 시간적, 재정적, 제도적 측면에서의 한계로 인하여 최선의 정책 대안으로 개선되기 힘들 경우에 상대적 가중치를 고려하여 2순위 또는 3순위로 중요하다고 도출된 요인을 우선순위 결정에 활용하여 최선의 정책 대안으로 선택해야 함을 제언한다. 이것이 이 연구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대적 중요도 분석을 실시한 의의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공공보건의료체계의 개선 및 발전을 위한 요인을 체계적 측면, 서비스영역 측면, 운영활성화 측면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자료수집의 한계로 인하여 공공보건의료의 조직 유형이나 구조 등의 조직적 측면, 전문인력 확충 같은 인력적 측면 등은 포함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정밀한 연구 설계를 통해 보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연구 대상을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학계의 영역인 교수들만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이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공공보건의료기관의 종사자 및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정책담당자 등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연구대상을 보다 확대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하지만 공공보건의료체계가 공공보건의료의 종사자 및 정책담당자 등 내부 전문가만이 아닌 학계의 학자 등 외부 전문가들의 객관적 시각에 의한 분석과 평가도 고려해야만 공공보건의료체계의 개선 및 발전이 잘 이루어질 것이라 판단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공공보건의료의 조직 유형이나 구조 등의 조직적 측면, 전문인력 확충 같은 인력적 측면 등을 포함한 연구와 공공보건의료기관의 종사자 및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정책담당자 등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연구대상을 보다 확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CONFLICTS OF INTEREST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Table 1.
Factor and sub-factor for relative importance assessment
Measurement objective Factor Sub-factor Contents
Relative importance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 health care system Systematic aspects of public health care Strengthen institutional improvement (revitalization of secondary public function hospital, etc) Institutional improvement is needed to revitalize public healthcare, such as expansion of secondary public hospitals such as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geriatric hospitals, and revitalization of functions and revision of public healthcare laws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agenci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ractical cooperation through linking patient and medical treatment requests between public medical institutions and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Strengthening the utilization of civilian resources In the situation where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have a large share of public healthcare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utilize and expand competent civilian resourc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upply of health services and quality of services
Service aspects of public health care Expansion of Public Medical Infrastructure Public healthcare infrastructure needs to be expanded so that the use of high-quality public health services can be facilitated not only in the metropolitan area but also in the local community
Expansion of budget for public health project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budget for the continuation and strengthening of public health projects such as facilities of public health medical institutions, modernization of equipments, securing excellent medical personnel
Expansion of public healthcare personnel In order to expand the public healthcare busines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arly access to workforce factors, such as excellent public health doctors and the placement of nurses
Activation aspects of public health care Re-establishing the role of local public health care system Roles and functions should be reestablish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level of medical care and professional competence of local public healthcare and pur- sue public interest rather than profitability
Reorganization from the work-oriented to the function-oriented In order to promote the health of local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public healthcare institutions rather than simply list- ing public health services
Expansion of public health services for vulnerable groups By strengthening the community-based public health infrastructure and expand- ing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apacity and the weight of public healthcare to expand essential public health services for the vulnerable
Table 2.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ve importance for factors
Factor Systematic aspects of public health care Service aspects of public health care Activation aspects of public health care
Result value 0.56 0.19 0.26
Precedence order of importance 1st 3rd 2nd

Consistency ratio <0.2.

Table 3.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ve importance for sub‐factors
Factor Sub-factor Result value Precedence order of importance
Systematic aspects of public health care Strengthen institutional improvement (revitalization of secondary public function hospital, etc) 0.52 1st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agencies 0.32 2nd
Strengthening the utilization of civilian resources 0.15 3rd
Service aspects of public health care Expansion of Public Medical Infrastructure 0.37 2nd
Expansion of budget for public health projects 0.39 1st
Expansion of public healthcare personnel 0.23 3rd
Activation aspects of public health care Re-establishing the role of local public health care system 0.66 1st
Reorganization from the work-oriented to the function-oriented 0.14 3rd
Expansion of public health services for vulnerable groups 0.21 2nd

Consistency ratio <0.2.

Table 4.
Results of the relative importance reflecting multiple‐weight
Factor Sub-factor Result value of multiple‐weight Multi‐precedence order of importance
Systematic aspects of public health care Strengthen institutional improvement (revitalization of secondary public function hospital, etc) 0.291 1st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agencies 0.179 2nd
Strengthening the utilization of civilian resources 0.084 4th
Service aspects of public health care Expansion of Public Medical Infrastructure 0.070 6th
Expansion of budget for public health projects 0.074 5th
Expansion of public healthcare personnel 0.044 8th
Activation aspects of public health care Re-establishing the role of local public health care system 0.172 3rd
Reorganization from the work-oriented to the function-oriented 0.036 9th
Expansion of public health services for vulnerable groups 0.055 7th

Consistency ratio <0.2.

REFERENCES

1. Son JC, Lee DY, Jung SY. The impact of population aging on economic growth and its policy implications. J Korean Econ Stud 2016;34(2):153-191. (Korean).

2. Suh TS, Park MS, Chung YJ. An evaluation of chronic disease risk based on the percentage of energy from carbohydrates and the frequency of vegetable intake in the Korean elderly: using the 2007-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15;20(1):41-52. (Korean).
crossref
3. Lee YJ. Family income inequality and medical care expenditure in Korea. J Korea Cont Assoc 2016;16(8):366-375. (Korean).
crossref pdf
4. Kang PS. Improvement of public health services in Korea. J Agr Med Community Health 2000;25(2):217-230. (Korean).

5. Park JH. Strategies for public health service development in the times of local autonomy. Korean J Health Policy Manage 2002;12(3):1-22. (Korean).

6. Hwang EJ. Educational needs for consideration in developing curriculum for staff in charge of public health services in public hospitals. J Korean Acad Nurs 2011;41(3):393-402. (Korean).
crossref pmid
7. Bae SS. New public health and national public health system. J Agr Med Community Health 2012;37(4):195-214. (Korean).
crossref pdf
8. Oh YH. Problem with and policy agenda for public health services in Korea. Health Welfare Policy Forum 2013;200:62-82. (Korean).

9. Gam S. Public health car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ptions. Health Welfare Policy Forum 2010;169:38-44. (Korean).

10. Han CH. A study of design attributes for specialization at medical health service design of public hospital. J Dig Design 2015;15(2):257-266. (Korean).
crossref
11. Jeong HS, Lee KH. Efficiency of public hospitals and their social role. Korean J Health Policy Adm 1996;6(2):1-13. (Korean).

12. Sim IK, Hwang EJ. The effects of performance of public health servic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community image of public hospitals.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2015;16(9):6089-6098. (Korean).
crossref pdf
13. Seok KH. Functional reorganization of public health center for strengthening public health care. Healthcare Policy Forum 2016;14(1):22-24. (Korean).

14. Ahn DT. Study on improving the connection system among public medical institution; focusing on the city of Chuncheon. [dissertation].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science and Public Administr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2012.

15. Saaty TL.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 new appoach to deal with fuzziness in architecture. Sci Rev 1982;23(3):64-68.

16. Lee JE. A study of the objective hierarchy system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of man-made disaster management policy in Korea. J Modern Soc Public Adm 2003;13(1):49-72. (Korean).

17. Lee SY.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public health enhancement policy, medical privatization policy. Welfare Trends 2012;160:34-37. (Korean).

Editorial Offic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680 gukchaebosang-ro, Jung-gu, Daegu, 41944, Korea
E-mail: koshis@hanmail.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