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온라인교육 참가자 및 프로그램 특성이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병원 간호사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Program on Effectiveness of Online Training in Hospitals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Focusing on Hospital Nurses

Article information

J Health Info Stat. 2016;41(4):379-391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6 November 30
doi : https://doi.org/10.21032/jhis.2016.41.4.379
1Bumin Hospital, Busan, Korea
2Seowon Longterm Care Hospital, Gimhae, Korea
3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Inje University, Busan, Korea
장원혁1, 조영부,2, 이기효3
1부민병원
2서원요양병원
3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Corresponding author: Young-Bu Cho 83 Garak-ro, Gimhae 50916, Korea Tel: +82-055-330-9113, E-mail: ybcho1024@hanmail.net
Received 2016 September 19; Revised 2016 October 14; Accepted 2016 November 22.

Trans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hospital online curriculum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participants and programs that affect the effectiveness of online training for hospital members and by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3 hospitals which have experienced online training for the past one year in Busan, Korea. Likert 5-point scale was applied to measure research variables and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tal valid 201 cases were analyzed by SPSS win 18.0. For hypothesis tes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s were performed.

Results

In the transition effect, course motive, business association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Satisfaction of education was influenced by course motive, business associations and the ability of the instructor. Self-efficacy has a moderating effect in career planning and transition effect.

Conclusions

In-depth survey on participants’ motivation in online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structured in relation to work, and ability of the instructor should be considered. The organizational support of hospitals in connection with career planning is important to increase self-efficacy through online training.

서 론

오늘날 기업은 치열한 경쟁에서 미래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인적자원을 통한 변화와 혁신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교육훈련의 중요성이 함께 부각되고 있다. 이는 비단 기업뿐만 아니라 병원환경에서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으며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행정직 등 직종별로 다양하게 구성된 병원조직의 경우 지식사회에 적응과 끊임없는 성장을 위해 차별화되고 발전적인 교육훈련에 관심이 높다고 하겠다.

교육훈련은 조직구성원인 인적자원 개발의 가장 중요한 수단이며, 조직구성원 본인에게 배정된 직무의 원활한 수행으로 조직의 경영이념을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즉 교육훈련은 기능·지식의 습득을 통한 직원들의 전문적 능력 향상 이외에 태도의 변화를 통한 직원의 성취동기를 향상시켜 근로의욕을 증진시키며, 조직의 활성화를 촉구시키는 요소가 된다[1].

교육과 관련해 최근에는 IT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전통적인 교육 방법의 단점과 평생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로 인해 온라인교육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2]. 온라인 교육은 학교교육, 기업교육, 공공교육, 평생교육 등 교육의 전 부분에서 빠른 속도로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으며, 특히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고 새로운 성장기회를 창출하여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해야하는 조직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온라인 교육은 과거 소집형 교육훈련의 단점이라 볼 수 있는 교육에 따른 업무중단, 이동거리, 높은 비용유발 등 비효율적인 문제를 줄일 수 있고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으로 교육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며 투입대비 효과적인 측면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3]. 즉, 온라인 교육은 시간과 공간 등의 제한 없이 누구든지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할 수 있어 평생교육학습시스템으로 나아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병원은 기업과 마찬가지로 의료서비스를 통해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를 창출해야 한다. 이를 인적자원의 교육훈련시스템 측면에서 본다면 교육을 단순히 사람만 키우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교육을 통해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업무환경, 리더쉽 향상, 업무처리 프로세스 변화 등을 이루고 유지시켜 나갈 수 있는 활동이 중요하다[1]. 이러한 부분을 선행연구에서는 교육의 효과적인 측면으로 살펴보았고 구성원들이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지식, 기술, 태도를 습득하는 학습차원의 성과보다 학습한 것을 실제 업무 현장에 적용하는 일반화와 그 변화된 행동을 유지하는 전이(transfer of training)차원의 성과를 더욱 강조하기 시작했다[4]. 교육의 전이효과에 미치는 요인들은 학습자가 가진 이전지식, 경험 등의 학습자 특성과 조직적 특성, 훈련 프로그램의 특성 등 매우 다양하며 각 요인들과 전이의 상호 복잡한 관계 또한 다양하다. 특히 온라인 교육은 학습자 중심 교육이라는 특성을 고려할 때 다양한 동기를 가진 학습자라는 점에서 학습자의 특성 변수와 조직상황적 변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중 개인의 신념과 관련된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은 온라인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온라인 교육에서 학습자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동기와 신념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엄격한 통제 하에 있는 학습자들 보다 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5].

선행연구에서는 병원조직 대상 교육훈련 시 서비스교육의 효과와 교육훈련의 속성 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만족도와 고객서비스 수행에 도움이 되는 정도는 교육훈련의 질, 교육훈련의 환경, 교육 참가자의 관심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제시하였다. 또한 교육훈련프로그램 설계 시 교육훈련의 질에 해당하는 속성들에 대한 면밀한 준비와 검토가 필요하다고 하였다[1]. 즉, 교육훈련 계획 수립에 있어서 학습자의 관심과 필요를 먼저 정확하게 파악한 후, 학습능력 정도와 교육훈련동기 요인들을 살펴보아야 하며, 아울러 병원조직 구성원들의 직무 내·외적인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구체적이고 실용한 내용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이처럼 병원은 증대된 환자의 욕구에 적합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교육훈련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교육훈련 운영에 있어 구성원들의 사고와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참가자들의 특성을 면밀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병원에서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 온라인 교육에서 참가자들의 학습능력과 수강동기, 경력계획, 업무연관성 및 강사의 능력 등 다양한 수준의 요인들을 통해 교육의 효과성을 검정하고, 이를 통해 온라인교육의 개발 및 운영 전략을 모색하여 병원의 온라인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그동안 선행연구에서는 병원조직의 교육훈련 및 교육효과성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어왔으나, 온라인교육에 대한 만족도, 전이효과 등을 살펴본 실증연구는 찾기 힘들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병원에 종사하는 구성원에 대한 온라인 교육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참가자 및 프로그램 특성을 규명하고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정함으로서 병원 온라인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연구가설의 도출

이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병원 온라인 교육참가자 및 프로그램 특성을 주요 변수로 하여 온라인 교육의 전이효과와 교육만족도 등의 효과성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Figure 1).

Figure 1.

Research model.

학습능력은 교육훈련을 받는데 필요한 능력과 기술로서, 교육훈련 성과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훈련 초기 시 교육학습자의 학습능력은 교육훈련의 성공적인 전이효과를 보인다고 하였다[6]. 또한, 피훈련자의 학습동기가 교육훈련에서의 성과를 예측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보았으며 학습동기가 높을수록 훈련에 대한 정서적 반응과 훈련 후 사후스트레스의 결과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8,9]. Kim and Lee [12]는 e-Learning 유통물류교육에서 학습동기가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학습동기 중 학습지향과 목표지향은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고 하였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뚜렷한 목표를 수립한 피훈련자는 현재 또는 미래의 직무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잠재적인 이익에 대해 더 높게 인지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 학습 전에 미리 경력계획의 일환으로 자신의 학습을 계획하고 학습의 목적을 설정한 피훈련자는 학습 후 학습한 내용을 직무에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15]. 즉, 경력개발에 관심이 높은 피훈련자일수록 자신이 학습한 새로운 지식, 기술 등을 직무에 사용하려는 동기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16].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도출하였다.

H1. 온라인 교육참가자 특성(학습능력, 수강동기, 경력계획)이 교육 효과성(전이효과,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교육프로그램 중 업무연관성과 관련된 국외 연구에서는 교육의 성공을 위하여 직무상황과 비슷한 환경에서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교육과 직무 간 공통요소가 많을수록 교육 훈련 후 업무성과가 향상된다고 하였다. 즉 교육훈련 전이와 교육훈련내용의 직무연관성 간의 유의적 관계를 강조하였다[17]. 국내 기업의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제연구에서도 학습자 본인이 종사하고 있는 업무와 관련된 교육을 받았을 때 실무복귀 후 교육적용 성과가 높게 나타났다[3]. 또한, 선행연구에서 강사가 교육훈련을 통해 교육참가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일련의 활동이 교육훈련 성과와 깊은 관계가 있다고 하며, 학습전이를 촉진하는 강사의 구체적인 활동을 3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조직의 전략적 목표와 교육훈련프로그램을 일치시켜야 하며 둘째, 교육훈련 필요성 분석과 프로그램 일정 및 내용 설계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참여와 몰입을 유도해야 하고 마지막으로 체계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이다[4].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도출하였다.

H2. 온라인 프로그램 특성(업무연관성, 강사능력)이 교육효과성(전이효과,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자기효능감은 규제적 기능을 제공하며 성과와 학습에 대해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선행연구 결과 실제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더 높은 성과목표를 설정하였으며 결국 목표에 대해 큰 공헌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1]. Joo et al. [22]에 의하면 사이버 교육환경에서도 자기효능감은 교육 이수 여부에 영향을 미치며, 학생의 개인적 요인이나 자기효능감을 통해 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23]. Yoo [24]의 온라인 수업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이 학습전략 요인인 도움 구하기, 시연과 함께 학습 만족도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규명되어 자기효능감이 학습참여도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Baldwin and Ford [26]는 교육훈련 투입 변인에 해당하는 학습자 특성요인, 교육훈련 설계요인, 조직환경 특성요인이 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전이효과와 교육만족도로 이어진다고 제시했다. Noe and Schmitt [25]는 학습자들의 교육훈련에 대한 기대와 자기효능감, 직무태도가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전이동기와 상호작용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도출하였다.

H3. 온라인 교육참가자 특성(학습능력, 수강동기, 경력계획)과 교육효과성(전이효과, 교육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조절역할을 할 것이다.

H4. 온라인 프로그램 특성(업무연관성, 강사능력)과 교육효과성(전이효과, 교육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조절역할을 할 것이다.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이 연구는 연구의 윤리성 확보를 위해 연구자가 속한 B기관의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이루어졌다(201412-SB-002). 연구대상은 연구목적을 고려해 최근 1년간 온라인 교육훈련의 실제 경험이 있는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온라인 교육훈련의 경험이라 함은 제공되는 교육컨텐츠를 전 직원이 정해진 기간 내에 교육을 이수하고 테스트 및 만족도 등 교육결과 확인까지 실시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기획·실행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연구대상의 선정은 동일한 교육업체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온라인 교육을 시행한 3개 병원급 의료기관(병원,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의 편의성도 함께 고려해 부산지역으로 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사전에 각 병원 총무부서를 통해 설문조사에 대한 의향을 물어본 뒤 직종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인편, 혹은 직접 방문을 통해 배포하였으며, 설문조사는 2015년 3월 16일부터 30일까지 약 2주간 실시하였다. 총 210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목적에 맞게 기록된 201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

학습능력

학습능력(learning ability)은 교육훈련자가 스스로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충분한 지식을 갖고 있는 것을 말하며 이는 학습과제 수행능력, 교육을 위해 필요한 지식 등의 우월성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7]. 이 연구는 온라인 교육참가자의 특성 중 학습능력을 Yoo [7]가 카지노 종사자 대상 교육훈련에서 제시한 학습능력의 측정항목을 참고해 총 6개 문항, 5점 척도로 구성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학습능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수강동기

학습동기는 피훈련자가 생각하는 미래의 성취욕구의 정도로 살펴볼 수 있으며 온라인 교육의 만족도 및 성취도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이다[10,11]. 이 연구에서 수강동기(course motive)를 온라인교육을 통해 자신의 직무성과를 높이려는 의도로 정의하고 Lee [13]가 제시한 측정항목을 수정해 총 4개 문항, 5점 척도로 구성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수강동기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경력계획

경력계획(career planning)은 일생에 걸쳐 일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과정으로 교육훈련을 통해 개인이 장기적 목표와 직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의 경력을 관리, 계획하고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14]. 경력계획을 자신의 경력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계획적으로 조직하는 노력이라고 정의하고 Gould et al. [14]가 제시한 측정항목을 수정해 총 3개 문항, 5점 척도로 구성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경력계획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업무연관성

국내 선행연구에서 교육훈련내용의 직무연관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적 분석 결과 직무교육과 학습전이 예측에 있어서는 학습자가 교육훈련 내용을 충분히 학습하여 학습량이 증가하였다고 하더라도 그 내용이 직무와 관련되지 않았다면 전이효과는 높지 않다고 하였다[18]. 이 연구에서는 Alliger et al. [17]이 제시한 업무연관성(business associations)의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특성에 맞추어 수정해 총 4개 문항, 5점 척도로 구성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업무연관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강사능력

강사능력(ability of the instructor)은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교육훈련 실시자의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강사는 교육훈련의 성공을 위해서 교육진행의 기본방향은 물론 교육진행 시 필요한 여러 가지 지식 및 기술들을 완전히 터득해야 한다[19].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되어왔던 교육과정에서 강사의 열정, 효과적인 전달, 참여자의 동기유발, 교육내용에 대한 강사의 전문적인 지식, 그리고 강사로서의 품위와 지식을 중심으로 Yoo [7]의 연구에서 제시한 측정항목을 수정해 총 4개 문항, 5점 척도로 구성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강사능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자기효능감

학습과정에서의 자기효능감은 교육훈련의 내용을 자신이 잘 이해하고 실무에도 잘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신념으로 볼 수 있다. 즉, 자기효능감은 학습자가 성공적인 성과의 수준을 달성하는데 요구되는 행위를 조직화하고 실행해 나가는데 있어서 스스로가 능력의 확신을 갖는 것을 말한다[20]. 이 연구에서는 높은 수준의 자기효능감을 갖고 있는 교육참가자는 성공적으로 교육훈련을 마치고 자신의 직무에 잘 전이시킬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한 후 Joo et al. [22]가 제시한 측정항목을 수정해 사용하였다. 총 4개 문항, 5점 척도로 구성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전이효과

학습전이에 대한 개념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 수년간 논의되어왔는데, Holton [27]은 전이효과(transition effect) 측면에서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성과를 실제 업무수행상의 변화, 이윤증가, 이직률 감소, 결근율 감소, 사기증진 등을 설명하였다. 같은 맥락으로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학습전이를 기업교육에 참가한 학습자들이 학습한 내용을 자신의 직무수행에 적용하는 행동으로 정의하고 있다[28]. 결국 학습전이란 학습자가 교육을 통해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 태도를 자신의 현업에 적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Lee [28]가 제시한 측정도구를 수정해 사용하였다. 총 3개 문항, 5점 척도로 구성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온라인교육의 전이효과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교육만족도

교육만족도(satisfaction of education)의 개념은 교육참여자 개개인이 자신의 교육경험을 평가한 결과로써 예측된 기대와 경험한 결과에 대한 욕구 만족 정도의 함수관계라고 할 수 있다[23]. 지금까지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과 관련된 항목을 주로 살펴보았으나, 최근에는 교육수요자의 요구가 다양해지면서 교육시설, 강사자질, 교육기자재, 직원서비스 등 여러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다. 교육만족도의 경우 결과적 차원과 과정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결과적 차원을 교육내용에 대한 만족으로 의미하고, 과정적 차원을 교육자와 학습자 사이의 관계, 학습자 상호간의 관계, 교육이 행해지는 장소의 시설과 분위기, 의사소통 방법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고 있다[29]. 이 연구에서는 Kim and Seo [1]가 제시한 교육내용, 교육강사, 교육시설 및 환경, 교육방법 등의 측정항목을 수정해 총 3개 문항, 5점 척도로 구성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교육만족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연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학습능력, 수강동기, 경력계획, 자기효능감, 전이효과, 교육만족도의 구성개념들에 대하여 타당성 및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베리멕스 방법을 이용한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개념을 설명하는 문항들의 요인적재량이 0.5이상이며, 다른 요인과의 중복 부하량이 높지 않은 문항을 선정한 결과 온라인 교육참가자 특성은 최종 3개 요인, 13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 ① 학습능력에는 기본적 지식능력, 충분한 능력, 능력의 수준, 지식학습능력, 능력 충분성, 직무적용능력으로 구성되었고, ② 수강동기는 필요한 지식, 경력계발, 일의 효과성, 이해욕구, ③ 경력계획에는 구체적인 계획, 명확성, 일의 우선순위로 문항이 구성되었다.

온라인 프로그램 특성의 요인분석 결과 최종 2개 요인, 8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① 업무연관성은 업무관련성, 신속한 대처의 도움, 구체적인 자료제공, 정보의 유용성으로, ② 강사의 능력은 강사의 충분한 준비, 전문지식, 열정, 좋은 결과, 이해성으로 구성되었고, 온라인 교육효과성은 최종 2개 요인, 6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① 교육의 전이효과는 업무성과향성, 의사결정 도움, 실제 업무활용, ② 교육만족도는 전반적인 만족도, 긍정적 소개, 추천의도로 구성되었다. 학습능력, 수강동기, 경력계획, 자기효능감, 전이효과, 교육만족도에 대한 신뢰도 검사를 한 결과 각 요인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모두 0.8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분석방법

이 연구에서 자료의 처리 및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였으며, 요인별 점수는 평균값으로 처리하였다.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로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제시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을 실시한 이후 이 연구의 가설검정을 위해 일반적 특성들을 통제한 후 입력방법(enter)에 의한 계층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검정을 위해 요인별 상호작용항을 추가한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빈도분석 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성별은 여성이 94%로 많이 차지하였으며, 나이는 20-29세가 121명(60.2%)로 가장 많았다. 학력에서는 전문대 졸업자가 56.2%로 4년제 대졸 이상보다 높게 차지하였으며, 직급은 사원이 180명(89.6%)이 가장 많았다. 직종별로는 간호직이 72.1%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현재 병원의 근무연수는 5년 미만, 총 병원근무연수도 5년 미만이 가장 많은 응답률을 보였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n=20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요인별 분석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요인별 점수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요인별 평균점수의 경우 학습능력이 3.38±0.6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강사능력이 3.35 ± 0.59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수강동기가 2.97±0.84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교육만족도가 2.99±0.76으로 낮게 나타났다. 종속변수인 전이효과는 2.99±0.73으로 나타나 교육만족도 2.99±0.76와 마찬가지로 보통 이하의 평균점수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요인별 점수분포를 보면 성별에서 남자는 수강동기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요인에서 여성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고, 나이는 40대에서 모든 요인별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결혼한 직원이 미혼직원보다 요인별 모든 항목에서 높은 점수분포를 보였다. 교육정도는 고등학교 이하 학력에서 요인별 평균점수가 대체적으로 높았는데, 특히 수강동기 는 고등학교 이하 학력이 평균 3.84±0.7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학원 이상 학력은 학습능력에서 3.60±0.5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직위는 주임급 이상에서 학습능력의 평균점수가 3.58±0.47로 높았으며, 직종의 경우 행정 및 기타직에서 요인별 평균점수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근속연수에서는 10년 이상이 학습능력에서 평균 3.78±0.57로 나타나는 등 요인별 평균 점수분포가 높게 나타났으며, 총 근무기간도 10년 이상의 경우 수강동기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요인에서 점수분포가 높게 나타났다(Table 2).

Descriptive analysi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n=201)

온라인 교육참가자 특성, 프로그램 특성, 자기효능감, 교육효과성 간의 상관관계

연구도구의 교육참가자 특성, 프로그램 특성, 자기효능감, 교육효과성 간의 피어슨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Table 3). 교육효과성 중 전이효과에 대하여 상관성을 보면, 교육참가자 특성(학습능력, 수강동기, 경력계획)과 프로그램 특성(업무연관성, 강사능력), 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 등은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그 가운데 업무연관성이 가장 높았고(r= 0.69), 수강동기(r= 0.60), 자기효능감(r= 0.54) 순이었다. 교육만족도의 경우에도 모든 요인 간 상관성을 보였으며, 전이효과가 가장 높았고(r= 0.77), 업무연관성(r= 0.70), 수강동기(r= 0.61) 순이었다.

Correlations among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program, self-efficacy, effectiveness of online training

일반적 특성 중 종속변수와 상관성을 보이는 항목은 연령이었으며, 이에 연령을 통제요인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상관성을 함께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연령은 강사능력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요인과 상관성을 보였고 업무연관성(r= 0.26), 전이효과(r= 0.25) 순이었다. 그러므로, 연령을 회귀분석의 주요 통제요인으로 적용하였으며, 그 외 일반적 특성 변수들도 함께 포함하여 진행하였다.

온라인 교육참가자 특성, 프로그램 특성과 교육효과성(전이효과)에 대한 영향관계

온라인 교육참가자 특성과 프로그램 특성이 교육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Table 4와 같이 온라인교육의 전이효과와 교육만족도로 구분해 살펴보았으며, 계층적 방식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일반적 특성들을 통제하였다. 자기상관성과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Durbin-Watson 1.798, VIF < 3.0).

Transition effect in hospitals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모형 1에서는 상관분석에서 유의한 관련성이 확인된 연령을 포함해 모든 일반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전이효과에 대한 영향관계를 검정하였으며, 회귀모형의 적합성을 나타내는 F값은 2.38 (p < 0.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이 많을수록 교육의 전이효과가 증가하는 양(+)의 영향관계를 보였으며, 이때 독립변수들의 전이효과에 대한 설명력은 7.9%(R2 = 0.08)였다.

모형 2에서는 모형 1에 온라인 교육참가자 특성(학습능력, 수강동기, 경력계획)과 프로그램 특성(업무연관성, 강사능력)의 변수를 추가하여 분석하였으며, 회귀모형의 적합성을 나타내는 F값은 18.93(p < 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과 수강동기, 업무연관성은 양(+)의 방향으로 전이효과에 대한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특히 표준화계수를 바탕으로 차원 간 비교를 해볼 때 전이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업무연관성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β= 0.48). 이때 독립변수들의 전이효과에 대한 설명력은 54.7% (R2 = 0.55)이었으며, 모형 1보다 46.8% 향상되었다.

온라인 교육참가자 특성, 프로그램 특성과 교육효과성(교육만족도)에 대한 영향관계

온라인 교육참가자 특성과 프로그램 특성이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5). 자기상관성과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Durbin-Watson 1.847, VIF < 3.0).

Satisfaction of education in hospitals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모형 1에서는 모든 일반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교육만족도에 대한 영향관계를 검정하였으며, 회귀모형의 적합성을 나타내는 F값은 2.96 (p < 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이 많을수록 교육만족도가 증가하는 양(+)의 영향관계를 보였으며, 이때 독립변수들의 전이효과에 대한 설명력은 9.7% (R2 = 0.10)이었다.

모형 2에서는 모형 1에 온라인 교육참가자 특성(학습능력, 수강동기, 경력계획)과 프로그램 특성(업무연관성, 강사능력)의 변수를 추가하여 분석하였으며, 회귀모형의 적합성을 나타내는 F값은 21.54 (p < 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은 유의하지 않았고, 학력이 높을수록 교육만족도가 높게 나타는 양(+)의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전이효과와 마찬가지로 수강동기와 업무연관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강사능력도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표준화계수를 바탕으로 차원 간 비교 결과에서는 업무연관성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β = 0.44). 이때 독립변수들의 전이효과에 대한 설명력은 57.9% (R2 = 0.58)이었으며, 모형 1보다 48.2% 향상되었다.

따라서, 온라인 교육참가자 특성이 교육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과 온라인 프로그램 특성이 교육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온라인 교육참가자 특성, 프로그램 특성과 교육효과성(전이효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온라인 교육효과성에서 전이효과의 경우 일반적 특성, 교육참가자 특성(학습능력, 수강동기, 경력계획), 프로그램 특성(업무연관성, 강사능력)과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 변수를 투입하여 계층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Table 6). 상호작용항이 투입된 모형 3에서 회귀모형의 적합성을 나타내는 F값은 11.04 (p < 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분석결과 결혼상태와 경력계획은 자기효능감이 증가할 수록 전이효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표준화 계수를 통해 경력계획이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β =1.21). 이는 모형 1, 모형 2에서 전이효과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모형 3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변수 투입 시 상호작용을 통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투입변수들의 전이효과에 대한 설명력은 모형 3에서 61.2%(R2 = 0.61)의 설명력을 지니며 모형 2보다 5% 향상됨을 알 수 있다.

Transition effect in hospitals based on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다음으로 온라인 교육효과성에서 교육만족도의 경우 일반적 특성, 교육참가자 특성(학습능력, 수강동기, 경력계획), 프로그램 특성(업무연관성, 강사능력)과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 변수를 투입하여 계층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Table 7). 분석결과 교육참가자 특성, 프로그램 특성과 교육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 3과 가설 4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Satisfaction of education in hospitals based on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고 찰

이 연구는 부산지역에 위치한 3개 병원급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교육참가자 특성과 프로그램 특성이 교육효과성(전이효과,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최근 병원들이 교육준비의 간편성과 교육참가자들의 편리성을 근거로 온라인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는데, 이는 교육내용과 실시목적에 대한 공감과 교육내용에 대한 이해, 교육이후의 피드백은 부족한 점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병원조직의 효과적인 온라인 교육을 위해 연구가설 설정 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에 대한 고찰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교육참가자 특성이 교육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에서 수강동기는 교육의 전이효과와 교육만족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참가자들이 경력개발과 일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충분한 동기요인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에 병원에서는 온라인교육을 형식적으로 진행하기 보다는 구성원의 동기부여를 높일 수 있는 지원방안과 교육프로그램 구성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러한 결과는 Lee [30]의 온라인 교육시 학습자의 학습동기는 학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습자의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설계전략이 필요하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Kim and Lee [12]는 e-Learning 유통물류교육의 학습동기를 학습지향, 목표지향, 활동지향으로 구분해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연구결과 학습지향과 목표지향 요인이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

한편, 학습능력의 경우 교육효과성(전이효과,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Cho and Roh [31]의 연구에서는 원격대학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Joo et al. [22]의 기업 사이버교육생 대상 연구에서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교육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 연구결과와 다름을 알 수 있다. 이는 교육대상의 조직특성과 조직적 지원, 조직문화에 따라 교육만족도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병원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교육만족도 결정요인을 지속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한편, 경찰공무원 대상 오프라인 교육훈련의 선행연구에서는 피훈련자의 개인적 특성요인(학습동기, 학습기대)이 전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능력은 전이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는 일치한 것을 볼 수 있다[32].

둘째,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특성이 교육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 중 업무연관성은 전이효과와 교육만족도에 모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강사능력은 교육만족도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온라인 교육 학습내용이 구성원들의 업무와 관련이 있거나 업무에 도움이 되는 구체적인 자료들이 충분히 제공될 경우, 또한 강사의 열정과 전문지식이 높을수록 교육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온라인교육의 진행 특성상 교육훈련내용이 실제 직무와 어느 정도 연관되어서 직접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지가 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Lee et al. [33]는 기업 e-러닝 학습전이모형 검증연구에서 학습자 특성요인, 교육프로그램 요인, 동료/상사 지원 요인, 조직환경 요인이 영향을 미치며, 이중 교육프로그램 요인이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나 교육프로그램의 내용과 설계에 있어서 현장 적용에 적합한 구성이 필요함을 제시하여 본 연구결과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Kim and Seo [1]는 병원조직 구성원들의 교육에 대한 기대요인과 관련해 교육강사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교육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교육효과성(전이효과,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 중 경력계획과 종속변수인 전이효과에서 자기효능감은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온라인 교육참가자가 교육에 대한 확신, 만족, 충분한 노력 및 이해가 증가할 수록 경력계획에 대한 특성을 보다 강화해 업무성과와 교육을 통한 실제 업무활용을 더욱 높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온라인 교육 참가자 특성, 프로그램 특성과 교육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Kim and Hahn [34]의 사이버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성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상호작용 효과를 가지지 않는 결과와 맥을 같이 하였다. 하지만, Kim and Seo [1]의 병원직원 대상 교육훈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는 교육에 대한 기대와 자아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있다고 제시하였으며, 교육만족도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에 대한 자신감을 갖출 수 있는 교육훈련이 먼저 실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고, 또한 자아효능감이 높은 조직구성원들에게는 더 높은 수준의 직무특성을 설정하여 도전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선행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인 것은 본 연구는 온라인 교육 참가자를 대상으로 살펴보았으며, 온라인 교육 특성상 교육의 전이효과와 교육만족도를 높이는 데는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보다는 수강동기와 업무연관성의 요인이 보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 론

이 연구는 병원의 온라인교육 참가자 및 프로그램 특성이 교육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의료기관에서 온라인교육의 효과적인 진행과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병원조직은 인적자원관리에서 교육훈련은 매우 중요한 관리기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중 온라인교육은 기존의 집합교육이 지니는 불필요한 이동시간과 비효율성을 극복하고 학습시간과 공간의 유연성으로 인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교육진행 시 참가자들의 수강동기에 대해 심도 있는 교육조사를 통해 교육의 전이효과와 교육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병원의 교육담당자나 최고경영자는 정기적인 교육수요조사와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구성원들이 새로운 지식습득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동기목적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참가자들로 하여금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의 선택의사가 반드시 반영되도록 동기부여를 높여야 하며 장기적인 인적자원개발에 주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둘째,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구성 시 업무와 연관된 교육내용과 그에 따른 강사능력을 함께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 교육을 이론중심의 형식적인 내용보다는 병원조직의 부서별, 업무특성별로 구성원들이 실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으로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온라인 교육을 통한 자격취득이나 지속적인 피드백과 보상효과를 활용하여 구성원들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으며 감동과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훈련 기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교육훈련이 성과향상으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교육훈련의 실시 못지않게 온라인교육 컨텐츠 개발자와 교육 담당자의 프로그램 기획력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온라인 교육진행시 구성원들이 교육을 통해 자기 자신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도록 병원차원의 조직적 지원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경력계획에 대한 중장기적 접근을 통한 인사관리시스템을 함께 구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교육훈련의 효과가 업무생산성으로 전이되는 선순환적인 조직문화를 만들려는 노력을 조직차원에서 병행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첫째, 이 연구는 부산지역 3개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구성원이 참여하였으며, 병원별 조직문화와 기존의 교육체계 등의 상황적 여건을 고려해 볼때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

둘째,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 대한 설명력의 증가분이 높지 않아 향후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정이나 조절효과 분석 시 동료지원, 상사지원, 조직지원, 조직문화 등 다양한 요인에 대해 분석하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온라인 교육프로그램과 교육효과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아 가설을 기각하였다. 자기효능감의 변수가 확신, 만족, 교육과정에 대한 충분한 이해 등을 설명한다고 보았을 때, 향후 연구에서는 독립변수인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특성에 프로그램 난이도의 항목을 추가한 후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기존연구와 차이점을 함께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셋째, 이 연구는 교육효과성 측면을 직원들의 인식을 기준으로 살펴보았으며, 향후 병원경영성과와 연계하여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전이효과의 경우 계량적 측정이 가능한 항목으로 구성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는 데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이 연구는 병원 구성원 직종별 전체를 대상으로 설계하여 조사하였으나, 실제 응답자는 대부분 간호사였다. 따라서 연구결과의 분석은 간호사를 중심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볼 수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층화추출법을 통한 표본의 대표성을 사전에 확보하거나 연구대상을 간호직, 행정직, 진료지원직 등 직종별 또는 경력별 등 참가자 특성요인을 보다 세분화해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Notes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Kim CA, Seo WS. Factors associated with employee satisfaction on training & education programs in general hospitals. J Korean AcadInd Cooperation Soc 2013;14(10):5012–5019. (Korean).
2. Kwon SH, Choi YH, Sim HY, Yee SJ, Kim KH, Jang SH. Development of the construct model for cyber home study system. J Learn Media Technol 2003;9(4):117–145. (Korean).
3. Im HC, Park GG. Impact training program components on the previous tra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firm and peer support. Acad Organ Manage 1999;23(2):107–138. (Korean).
4. Broad ML, Newstrom JW. Transfer of train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Pers Psychol 1992;41:63–105.
5. Kim JS. Explorativ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Learning performance and its pedagogical implication. J Yeolin Educ 2007;15(3):101–125. (Korean).
6. Gordon ME, Cohen SL. Training behavior as a predictor of train ability. Pers Psychol 1973;26(2):261–272.
7. Yoo SH. A study on the effects of transfer on the training of casino employee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ransfer characteristics. Korean Serv Ind Acad 2012;9(2):69–86. (Korean).
8. Ryman DH. Attitudes predictive of diving training success. Pers Psychol 1975;28(2):181–188.
9. Mathieu JE, Tannenbaum SI, Eduardo S. Influences of individual and situational characteristics on measures of training effectiveness. Acad Manage J 1992;35(4):828–847.
10. Kim J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effectiveness in the Wiki-based learning environment. Learner-centered Curriculum Instruction 2009;9(2):59–78. (Korean).
11. Lim DH, Yoon W, Morris ML. Instructional and learner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outcomes with online learning environment. Adv Dev Hum Resour 2006;February. :72–75.
12. Kim YM, Lee YC. A study on influences of learning motivation to learning satisfaction in distribution and logistics education by e-Learning. Korean Logist Rev 2010;20(5):269–289. (Korean).
13. Lee DH. Learning and transition effects model validation studies of the organization’s training. Korean J Ind Organ Psychol 1996;9(1):59–88. (Korean).
14. Gould S. Characteristics of career planners in upwardly mobile occupations. Acad Manage J 1979;22(3):539–550.
15. Colquitt JA, Simmering MJ. Conscientiousness, goal orientation, and motivation to learn during the learning process. Int J Appl Psychol 1998;83(4):654–659.
16. Kim JY, Park SJ. The impact on the business environment of transition training. Korean Acad Manage 2001;9(1):23–42. (Korean).
17. Traver H, Shotland A. A meta analysis of the relations among training criteria. Pers Psychol 1997;50(2):341–358.
18. Bae SE, Lee KM. An inquiry concerning the impacts of educational training contents and its relevance to job competence on organization commitment. Educ Res Tomorrow 2014;27(2):195–226. (Korean).
19. Fitzpatrick R, DeSimone RL, David M. Harris. Harris. Human resource development (2nd ed.). Pers Psychol 1999;52(1):232–234.
20. Bandura A, Cioffi D, Taylor CB. Perceived self-efficacy in coping with cognitive stressors and opioid activation. Dev Psychol 1989;10:53–58.
21. Campbell J. Clinical and research applications of a scale to assess self efficacy with managing cancer. Asia Pac J Clin Oncol 2016;25:39–44.
22. Joo YJ, Kim SN, Kim SM. The effects of self-efficacy, self-regulated learning and online task value 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corporate cyber education. J Employee Skills Dev 2008;11(3):151–170. (Korean).
23. Maria P. Online technologies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s predictors of final grade and satisfaction in college-level online courses. Am J Distance Educ 2008;22(2):72–89.
24. Yoo PJ. Leaner-related factors which have effects on learner participatio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er satisfaction of online graduate course. J Learn Media Technol 2003;9(4):229–267. (Korean).
25. Noe RA, Schmitt N. The influence of trainee attitudes on training effectiveness: test of a model. Pers Psychol 1986;39:497–523.
26. Baldwin TT, Ford JK. Transfer of train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Pers Psychol 1988;41:63–105.
27. Holton EF III. Convergent and divergent validity of the learning transfer system inventory. Hum Resour Dev Q 2007;18(3):385–419.
28. Lee DH. Learning and transition effects model validation studies of the organization’s training. Korean J Ind Organ Psychol 1996;9(1):59–88. (Korean).
29. Kim JH. Study on the types of approaches to creativity and creativity and undergraduate education program. Korean J General Educ 2011;5(2):205–209. (Korean).
30. Lee SI.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tructure variable,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education. J Learn Media Technol 2012;18(1):77–94. (Korean).
31. Cho AR, Roh SZ. The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flow, learning attitude, academic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cyber university. Educ Technol Int 2013;29(4):849–879. (Korean).
32. Kang YJ. Police empirical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learning and training of civil servants and metastatic. Korean Res Adm 2005;14(2):15–18. (Korean).
33. Lee SK. Byun SY, Kwon SY, Kim SN. A study to verify the learning transfer model in corporatee-learning. Educ Technol Int 2010;26(1):1–24. (Korean).
34. Kim SH, Hahn JS. Relations among learner’s personality types, self-direction, attitudes and self-efficacy toward technology, and achievement in cyber university. J Learn Media Technol 2007;13(2):79–106. (Korean).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Research model.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n=201)

Variables Division n %
Gender Male 12 6.0
Female 189 94.0
Age (y) 20-29 121 60.2
30-39 45 22.4
40-49 23 11.4
50 years and over 12 5.97
Marital status Single 147 73.1
Married 54 26.9
Education Under high school 11 5.4
College 102 50.7
University 78 38.8
More than a graduate school 10 4.9
Position Staff 180 89.6
Chief and over 21 10.4
Occupation Nurse 145 72.1
Medical support 20 10.0
Administration & etc. 36 17.9
Employment period of current hospital Less than 5 years 146 72.6
5 to less than 10 years 41 20.4
More than 10 years 14 6.9
Total employment period of hospital Less than 5 years 108 53.7
5 to less than 10 years 59 29.4
More than 20 years 34 16.9

Table 2.

Descriptive analysi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n=201)

Learning ability Course motive Career planning Business associations Ability of the instructor Self-efficacy Transition effect Satisfaction of education

Mean ± SD
Gender Male 3.63 ± 0.54 2.89 ± 1.08 3.50 ± 0.54 3.27 ± 0.90 3.43 ± 0.73 3.31 ± 0.73 3.19 ± 1.06 3.22 ± 1.03
Female 3.36 ± 0.62 2.98 ± 0.83 3.29 ± 0.63 3.16 ± 0.70 3.35 ± 0.59 3.20 ± 0.59 2.98 ± 0.71 2.97 ± 0.74
Age (y) 20-29 3.29 ± 0.61 2.94 ± 0.78 3.22 ± 0.62 3.07 ± 0.70 3.32 ± 0.59 3.12 ± 0.56 2.87 ± 0.68 2.88 ± 0.73
30-39 3.50 ± 0.68 2.76 ± 0.85 3.32 ± 0.67 3.03 ± 0.69 3.27 ± 0.60 3.18 ± 0.64 2.97 ± 0.69 2.96 ± 0.75
40-49 3.57 ± 0.57 3.38 ± 0.96 3.56 ± 0.53 3.78 ± 0.58 3.65 ± 0.60 3.56 ± 0.62 3.53 ± 0.86 3.50 ± 0.85
50 years and over 3.45 ± 0.44 3.37 ± 0.85 3.55 ± 0.49 3.47 ± 0.43 3.50 ± 0.43 3.43 ± 0.53 3.27 ± 0.60 3.22 ± 0.57
Marital status Single 3.34 ± 0.63 2.92 ± 0.82 3.25 ± 0.66 3.06 ± 0.69 3.33 ± 0.58 3.16 ± 0.58 2.92 ± 0.70 2.90 ± 0.75
Married 3.49 ± 0.57 3.12 ± 0.88 3.44 ± 0.51 3.43 ± 0.69 3.42 ± 0.63 3.33 ± 0.65 3.18 ± 0.80 3.22 ± 0.74
Education Under high school 3.12 ± 0.58 3.84 ± 0.72 3.33 ± 0.63 3.68 ± 0.71 3.70 ± 0.56 3.43 ± 0.71 3.45 ± 0.80 3.45 ± 0.79
College 3.29 ± 0.65 3.00 ± 0.80 3.20 ± 0.61 3.14 ± 0.65 3.35 ± 0.56 3.16 ± 0.62 2.92 ± 0.71 2.94 ± 0.73
University 3.50 ± 0.56 2.86 ± 0.82 3.38 ± 0.65 3.15 ± 0.75 3.33 ± 0.59 3.23 ± 0.53 3.03 ± 0.72 2.99 ± 0.78
More than a graduate school 3.60 ± 0.58 2.65 ± 1.03 3.56 ± 0.44 2.97 ± 0.83 3.25 ± 0.91 3.27 ± 0.74 2.90 ± 0.80 2.96 ± 0.90
Position Staff 3.35 ± 0.63 3.00 ± 0.85 3.29 ± 0.63 3.16 ± 0.73 3.35 ± 0.61 3.21 ± 0.61 2.98 ± 0.76 3.00 ± 0.77
Chief and over 3.58 ± 0.47 2.76 ± 0.73 3.41 ± 0.64 3.16 ± 0.52 3.42 ± 0.46 3.17 ± 0.53 3.06 ± 0.41 2.88 ± 0.67
Occupation Nurse 3.39 ± 0.65 2.91 ± 0.79 3.23 ± 0.64 3.15 ± 0.69 3.32 ± 0.57 3.16 ± 0.59 2.96 ± 0.69 2.92 ± 0.73
Medical support 3.29 ± 0.48 2.90 ± 0.82 3.40 ± 0.62 3.00 ± 0.64 3.36 ± 0.60 3.26 ± 0.50 2.81 ± 0.73 2.91 ± 0.80
Administration & etc. 3.38 ± 0.57 3.27 ± 0.99 3.51 ± 0.54 3.32 ± 0.82 3.50 ± 0.66 3.35 ± 0.68 3.21 ± 0.86 3.31 ± 0.79
Employment period of current hospital Less than 5 years 3.33 ± 0.63 3.04 ± 0.87 3.26 ± 0.64 3.14 ± 0.73 3.35 ± 0.59 3.19 ± 0.61 3.01 ± 0.79 3.00 ± 0.79
5 to less than 10 years 3.41 ± 0.55 2.84 ± 0.76 3.39 ± 0.63 3.23 ± 0.71 3.33 ± 0.67 3.22 ± 0.58 2.89 ± 0.62 2.96 ± 0.64
More than 10 years 3.78 ± 0.57 2.71 ± 0.64 3.47 ± 0.40 3.17 ± 0.51 3.44 ± 0.45 3.26 ± 0.57 3.14 ± 0.31 2.92 ± 0.83
Total employment period of hospital Less than 5 years 3.35 ± 0.65 3.05 ± 0.80 3.23 ± 0.62 3.13 ± 0.70 3.33 ± 0.59 3.15 ± 0.60 2.99 ± 0.72 3.00 ± 0.75
5 to less than 10 years 3.31 ± 0.59 2.90 ± 0.87 3.36 ± 0.66 3.17 ± 0.81 3.34 ± 0.64 3.22 ± 0.61 2.90 ± 0.84 2.95 ± 0.79
More than 10 years 3.56 ± 0.53 2.87 ± 0.91 3.41 ± 0.58 3.27 ± 0.53 3.41 ± 0.51 3.33 ± 0.56 3.15 ± 0.53 3.01 ± 0.76

SD, standard deviation.

Table 3.

Correlations among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program, self-efficacy, effectiveness of online training

Variables M ± SD 1 2 3 4 5 6 7 8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1. Learning ability 3.38 ± 0.62
 2. Course motive 2.97 ± 0.84 0.242**
 3. Career planning 3.30 ± 0.63 0.360** 0.280**
Characteristics of program
 4. Business associations 3.16 ± 0.71 0.364** 0.616** 0.312**
 5. Ability of the instructor 3.35 ± 0.59 0.300** 0.508** 0.235** 0.621**
 6. Self-efficacy 3.20 ± 0.60 0.481** 0.529** 0.349** 0.549** 0.553**
Effectiveness of online training
 7. Transition effect 2.99 ± 0.73 0.275** 0.595** 0.256** 0.693** 0.510** 0.544**
 8. Satisfaction of education 2.99 ± 0.76 0.230** 0.606** 0.269** 0.697** 0.564** 0.538** 0.765**
 9. Age (y) 0.151* 0.151* 0.193** 0.257** 0.137 0.214** 0.253** 0.221**

M±SD, mean±standard deviation.

1, Learning ability; 2, Course motive; 3, Career Planning, 4, Business associations; 5, Ability of the instructor; 6, Self-efficacy; 7, Transition effect; 8, Satisfaction of education; 9, Age.

*

p<0.05,

**

p<0.01.

Table 4.

Transition effect in hospitals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l 1
Model 2
β t β t
Age (y) 0.37 3.23** 0.17 1.98*
Marital status -0.04 -0.40 -0.09 -1.16
Education 0.01 0.10 0.10 1.66
Position -0.06 -0.73 0.00 -0.02
Occupation 0.02 0.20 0.00 -0.05
Employment period of current hospital 0.05 0.47 -0.02 -0.23
Total employment period of hospital -0.13 -1.17 -0.02 -0.27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Learning ability -0.01 -0.23
Coursemotive 0.27 4.04***
Career planning -0.01 -0.19
Characteristics of program Business associations 0.48 6.43***
Ability of the instructor 0.08 1.17
R2 0.08 0.55
Adj R2 0.05 0.52
F 2.38* 18.93***
*

p<0.05,

**

p<0.01,

***

p<0.001.

Table 5.

Satisfaction of education in hospitals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l 1
Model 2
β t β t
Age (y) 0.28 2.44* 0.08 1.01
Marital status 0.07 0.72 0.04 0.60
Education 0.02 0.30 0.13 2.26*
Position -0.14 -1.58 -0.08 -1.32
Occupation 0.11 1.42 0.07 1.41
Employment period of current hospital 0.08 0.88 0.03 0.45
Total employment period of hospital -0.19 -1.67 -0.09 -1.18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Learning ability -0.08 -1.37
Course motive 0.25 3.82***
Career planning 0.01 0.15
Characteristics of program Business associations 0.44 6.14***
Ability of the instructor 0.18 2.90**
R2 0.10 0.58
Adj R2 0.06 0.55
F 2.96** 21.54***
*

p<0.05,

**

p<0.01,

***

p<0.001.

Table 6.

Transition effect in hospitals based on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Model 1
Model 2
Model 3
β t β t β t
Age (y) 0.17 1.98* 0.15 1.82 0.36 0.77
Marital status -0.09 -1.16 -0.07 -0.97 -0.95 -2.42*
Education 0.10 1.66 0.09 1.52 0.44 1.36
Position 0.00 -0.02 0.02 0.35 0.66 1.75
Occupation 0.00 -0.05 -0.01 -0.17 -0.17 -0.54
Employment period of current hospital -0.02 -0.23 -0.01 -0.08 0.26 0.67
Total employment period of hospital -0.02 -0.27 -0.05 -0.61 -0.20 -0.45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Learning ability -0.01 -0.23 -0.06 -1.04 -0.03 -0.10
 Course motive 0.27 4.04** 0.23 3.34** 0.76 2.02*
 Career planning -0.01 -0.19 -0.02 -0.39 -0.75 -2.56*
Characteristics of program
 Business associations 0.48 6.43** 0.46 6.23*** 0.46 1.11
 Ability of the instructor 0.08 1.17 0.03 0.46 -0.20 0.59

Self-efficacy 0.18 2.54* -0.23 -0.55

Age X Self-efficacy -0.31 -0.58
Marital status X Self-efficacy 1.14 2.38*
Education X Self-efficacy -0.41 -1.06
Position X Self-efficacy -0.74 -1.65
Occupation X Self-efficacy 0.18 0.52
Employment period of current hospital
X Self-efficacy -0.31 -0.76
Total employment period of hospital X Self-efficacy 0.16 0.33
Learning ability X Self-efficacy -0.05 -0.11
Course motive X Self-efficacy -0.80 -1.45
Career Planning X Self-efficacy 1.21 2.48*
Business associations X Self-efficacy -0.01 -0.01
Ability of the instructor X Self-efficacy 0.47 0.74

R2 0.55 0.56 0.61
Adj R2 0.52 0.53 0.56
F 18.93*** 18.48*** 11.04***
*

p<0.05,

**

p<0.01,

***

p<0.001.

Table 7.

Satisfaction of education in hospitals based on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Model 1
Model 2
Model 3
β t β t β t
Age (y) 0.08 1.01 0.07 0.85 0.33 0.71
Marital status 0.04 0.60 0.06 0.78 -0.22 -0.56
Education 0.13 2.26* 0.12 2.14* 0.14 0.44
Position -0.08 -1.32 -0.06 -0.99 0.50 1.32
Occupation 0.07 1.41 0.07 1.32 -0.09 -0.30
Employment period of current hospital 0.03 0.45 0.04 0.60 -0.25 -0.66
Total employment period of hospital -0.09 -1.18 -0.12 -1.49 -0.24 -0.54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Learning ability -0.08 -1.37 -0.12 -2.04* 0.09 0.31
 Course motive 0.25 3.82*** 0.21 3.19** 0.55 1.45
 Career planning 0.01 0.15 0.00 -0.03 -0.46 -1.58
Characteristics of program
 Business associations 0.44 6.14*** 0.42 5.95*** 0.78 1.90
 Ability of the instructor 0.18 2.90** 0.14 2.21* -0.48 -1.40

Self-efficacy 0.15 2.26* -0.13 -0.32

Age X Self-efficacy -0.32 -0.60
Marital status X Self-efficacy 0.36 0.76
Education X Self-efficacy -0.01 -0.02
Position X Self-efficacy -0.65 -1.47
Occupation X Self-efficacy 0.18 0.51
Employment period of current hospital
X Self-efficacy 0.29 0.71
Total employment period of hospital X Self-efficacy 0.13 0.27
Learning ability X Self-efficacy -0.37 -0.73
Course motive X Self-efficacy -0.51 -0.92
Career Planning X Self-efficacy 0.75 1.55
Business associations X Self-efficacy -0.57 -0.85
Ability of the instructor X Self-efficacy 1.14 1.81

R2 0.58 0.59 0.62
Adj R2 0.55 0.56 0.56
F 21.54*** 20.71*** 11.20***
*

p<0.05,

**

p<0.01,

***

p<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