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J Health Info Stat > Volume 48(2); 2023 > Article
의료관광 특구와 그 외 지역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역량조사

Abstract

Objectives

With the designation of Seo-gu in Busan as a medical tourism special zone, the influx of hospitalized patients requiring caregivers is expected to increase, and it is necessary to secure and verify the expertise of caregivers.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competencies of caregivers in the Seo-gu in Busan and compared them to other regions.

Methods

This study surveyed the knowledge, skill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at tertiary general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in Busan, South Korea.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s 27.0 and includ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crosstabulation.

Results

In the end, 132 caregivers from Seo-gu in Busan and 132 caregivers from other region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knowledge, skills, and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 in Seo-gu were higher than those in other regions, and they were positive about the need for continuing education regardless of the region.

Conclusions

The competency of caregivers in the Seo-gu in Busan was evaluated as excellent compared to other regions, and in order for the region to operate effectively as a medical tourism special zone,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continuing education and improve their working environment.

서 론

2019년 기준 부산광역시 방문자 수는 약 1억 5천만 명이었다[1]. 관광객 중 2019년 외국인 방문자는 약 1천만 명이었고,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인 환자 수는 2009년 약 6만 명에서 2019년 약 50만 명으로 연평균 23.5% 성장세를 유지하였다[2].
부산광역시 서구(이하 부산 서구)는 대중교통 이용 시 김해공항까지 50분, 부산역까지 10분, 부산항까지 15분이 소요되어 접근성이 높다. 부산광역시에는 28개소의 종합병원이 있고 그중 3개소는 상급종합병원인데, 상급종합병원 2개소, 종합병원 2개소가 부산 서구에 위치하고 있다. 부산 서구는 이를 바탕으로 2022년 1월 24일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의료관광특구로 지정 받게 되면서 외국인 환자 유치 확대를 위해 의료 연구개발(research and development, R&D) 산업 클러스터 구축, 암 환자 본인부담액 일부 지원 등을 제공하기로 하였다[3].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확진자 및 사망자의 감소로 인해 이동 관련 규제가 해제되면서 부산으로 국내 및 해외의 관광객이 증가하고, 더불어 환자 유입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의료기관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로 보호자가 상주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원내 감염, 안전, 위생 등의 이유로 보호자가 원내 간병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4-6]. 또한, 의료관광객의 특성상 보호자 없이 방문할 수도 있고, 짧게는 하루에서 길게는 며칠 간의 입원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의료인력의 수는 제한적이므로 증가하는 환자의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으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력이 필요하다[7]. 국내에서는 돌봄과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에 요양보호사, 간병인 등이 있다.
한국고용직업분류에 따르면, 요양보호사 및 간병인은 돌봄 서비스 종사자로 분류된다. ‘보건·의료직’이 아닌 ‘미용 ·여행·숙박· 음식·경비·청소직’ 하위에 ‘돌봄 서비스직’ 중분류 항목으로 분류되는데, 직업 특성상 구인·구직의 알선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개인 서비스로서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으로 설명된다[8].
요양보호사는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성인에게 신체활동 및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자’, 간병인은 ‘환자들을 돌보는 업무를 수행하는 자’로 정의된다[9]. 두 정의의 공통점은 ‘가정에서 행해지는 돌봄 업무’라는 점이 있는데, 이 때문에 직업에 대한 현황이 제대로 파악되고 있지 않다. 또한, 외국과 비교하여 부족한 교육과정, 제한 없는 입학조건, 법정단체로 승인 받은 협회의 부재 등으로 전문성에 대한 의문점도 제기되고 있다[10]. 또한,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지식과 기술, 전문성과 같은 역량은 파악되지 않고 있으며, 특히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돌봄 서비스 종사자에 대한 국내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글로벌화에 따라 의료관광특구 소재 의료기관의 중요성이 증대될 것으로 판단하여 의료관광특구로 지정된 부산 서구 소재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역량을 파악하고, 부산 서구 외의 부산 지역 소재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돌봄 서비스 종사자와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1) 의료관광특구와 그 외 지역의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비교한다.

  • (2) 의료관광특구와 그 외 지역의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지식과 기술, 전문성, 직무만족도를 비교한다.

  • (3) 의료관광특구와 그 외 지역의 돌봄 서비스 종사자가 인지하는 보수교육 필요성을 비교한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 돌봄 서비스 종사자는 간병사(Private certified caregiver), 요양보호사(National certified caregiver)와 같은 자격증을 취득하거나 자격증을 취득하지 않았더라도 일정한 임금을 지급받고, 환자에게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로 정의한다. 대상자 수는 두 그룹 간의 비교를 위해 표본수 계산 프로그램인 G*Power 3.1.9.7을 이용하였다[11]. 효과크기 0.5, 유의수준 0.05, 검정력 0.99의 수준으로 산출한 결과, 최소 필요 표본수 각 그룹당 127명으로 총 254명으로 계산되었다. 그러나 탈락률 15%를 고려하여 300명에게 조사하였다.

자료수집

2022년 12월 1일부터 2023년 1월 31일까지 부산광역시 소재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돌봄 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부산 서구 소재 상급종합병원 2개소, 종합병원 2개소에 150부, 서구 외의 부산지역 소재 종합병원 5개소에 150부를 배포하여 총 300부를 배포하였고, 설문지 300부를 회수하였다.

연구도구

지식과 기술

본 연구에서는 돌봄 서비스 종사자가 근거기반 간호지식의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Jung [12]이 보건복지가족부에서 발간한 요양보호사 표준교재의 학습목표를 기준으로 개발한 ‘요양보호지식’을 사용하였다. 식이 섭취 5문항, 배뇨 및 배설 4문항, 개인위생 10문항, 체위변경 및 이동 5문항, 응급처치 및 기본소생술 4문항, 감염관리 및 욕창 예방 3문항, 임종 1문항, 가사지원 4문항, 요양서비스 5문항의 총 4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정답일 경우 1점, 오답일 경우 0점으로 하여 최저 0점, 최고 41점으로 측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지식과 기술 수준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전문성

본 연구에서 전문성은 돌봄 서비스 종사자가 자신의 직업이 가지는 신념, 가치, 규율 등에 대해 인지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Hall [13]의 연구를 Snizek [14]이 요인분석하고, Park [15]이 번역 및 수정한 내용을 병원에서 근무하는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실정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전문성 함양의 적극성 4문항,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3문항, 규제에 대한 신념 3문항,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3문항, 자율에 대한 신념 3문항의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전혀 그렇지 않다’부터 ‘매우 그렇다’까지 1점에서부터 5점으로 환산한 총점의 평균을 측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전문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Snizek [14]의 연구에서 Cronbach's alpha (신뢰도)는 0.79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0.90이었다.

직무만족도

본 연구에서 직무만족도란 돌봄 서비스 종사자가 인지하는 업무에 대한 보람, 흥미, 자랑스러워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Steers and Poter [16]가 개발한 도구를 병원에서 근무하는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실정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전혀 그렇지 않다’부터 ‘매우 그렇다’까지 1점에서부터 5점으로 환산한 총점의 평균을 측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Steers and Poter [16]의 연구에서 신뢰도는 0.88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0.93이었다.

분석방법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으로 연구대상자의 특성, 지식과 기술, 전문성, 직무만족도, 교육요구도, 보수교육 필요성을 파악하였고, 연속형 변수는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였고, 범주형 변수는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조사지역과 비교지역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SPSS 27.0 (IBM Corp., Armonk, NY, USA)를 활용하며, 유의수준은 0.05 미만으로 정하여 이보다 낮을 경우 통계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울산대학교병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승인된 연구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IRB No.: 2022-11-009). 대상자에게 설문조사와 관련된 동의를 받았으며, 자유의사에 대한 동의 및 철회, 연구대상자 권익에 관한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등을 설명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무응답, 중복응답 등을 제외한 총 264부의 설문지를 최종자료로 사용하였고, 조사지역인 부산광역시 서구(이하 의료관광특구) 132명, 비교지역인 서구 외의 부산지역(이하 그 외 지역) 132명을 비교분석하였다. 의료관광특구와 그 외 지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은 여성(94.7%, 92.4%), 연령대는 60대(50.0%, 62.1%), 최종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56.8%, 55.3%)이 가장 많았다. 취득 자격증은 민간 간병사(73.5%, 81.1%), 계약기관은 파견업체(71.2%, 82.6%), 퇴사 이유는 업무 강도에 비해 낮은 임금(34.1%, 47.7%)이 가장 많았다(Table 1).
Table 1.
Social basics
Categories Characteristics Medical tourism special zone Other regions χ2 (p-value)
n (%) n (%)
Sex Male 7 (5.3) 10 (7.6) 0.57 (0.452)
Female 125 (94.7) 122 (92.4)
Age (y) ≤40’ 7 (5.3) 3 (2.3) 4.70 (0.195)
50’ 37 (28.0) 29 (22.0)
60’ 66 (50.0) 82 (62.1)
≥70’ 22 (16.7) 18 (13.6)
Median (Interquartile range 25%-75%) 64 (57-67) 64 (60-67)
Education Elementary school graduation 11 (8.3) 3 (2.3) 13.99 (0.007)
Middle school graduation 26 (22.0) 49 (37.1)
High school graduation 75 (56.8) 73 (55.3)
College graduation 11 (8.3) 4 (3.0)
University graduation 6 (4.5) 3 (2.3)
Marriage Unmarried 11 (8.3) 12 (9.1) 1.02 (0.599)
Married 86 (65.2) 92 (69.7)
Etc. 35 (26.5) 28 (21.2)
Certification Private certified caregiver 97 (73.5) 107 (81.1) -1
National certified caregiver 19 (14.4) 16 (12.1)
Other certification 23 (17.4) 15 (11.4)
No license 15 (11.4) 12 (9.1)
Contracting authority Dispatched facility 94 (71.2) 109 (82.6) 4.80 (0.029)
Hospital 38 (28.8) 23 (17.4)
Reasons for quitting work Difficulty in work 35 (26.5) 19 (14.4) 9.84 (0.043)
Low wages compared to work intensity 45 (34.1) 63 (47.7)
Physical reasons 19 (14.4) 25 (18.9)
Inappropriate working environment 19 (14.4) 13 (9.8)
Low social awareness of the job 14 (10.6) 12 (9.1)
Total 132 (100.0) 132 (100.0)

1 Redundant response.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지식과 기술, 전문성, 직무만족도

의료관광특구와 그 외 지역의 돌봄 서비스 종사자가 인지하는 지식과 기술, 전문성, 직무만족도의 평균 ± 표준편차 차이를 비교하였다. 지식과 기술, 직무만족도는 의료관광특구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고, 전문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2).
Table 2.
Comparison of caregiver competencies in MTSZ and other regions
Categories Medical tourism special zone Other regions t (p-value)
Min Max Mean SD Min Max Mean SD
Knowledge and skills 13.0 38.0 30.45 3.73 20.0 38.0 29.21 3.22 2.90 (0.004)
Professionalism 1.0 5.0 3.33 0.65 2.0 4.7 3.26 0.59 0.98 (0.330)
Job satisfaction 1.0 5.0 3.55 0.84 1.6 5.0 3.35 0.74 2.03 (0.043)

MTSZ, Medical tourism special zone; SD, standard deviation.

의료관광특구와 그 외 지역의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지식과 기술 점수 평균 ± 표준편차를 세부적으로 비교하면, 의료관광특구에서는 배뇨 및 배설, 개인위생, 가사지원, 요양서비스에 관한 문항의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고, 그 외 지역에서는 식이 섭취, 감염관리 및 욕창 예방에 관한 문항의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체위변경 및 이동, 응급처치 및 기본소생술에 관한 문항의 점수는 두 지역 간 차이가 없었다(Table 3).
Table 3.
Detailed comparison of knowledge and skills between caregivers in MTSZ and other regions
Categories (Perfect score) Characteristics Medical tourism special zone Other regions
%1 %1
Food intake (5) Give them water before giving them food. 93.9 95.5
Oral intake is more important than gavage. 66.7 87.1
Give them water before and after gavage. 93.9 95.5
Remove air from the tube during gavage. 96.2 92.4
When administering the potion, place the cup on the table and pour it. 18.9 15.9
Mean±SD of score 3.70±0.70 3.86±0.56
t (p-value) -2.14 (0.034)
Urination/Defecation (4) If the patient has urinary incontinence, immediately refill the diaper. 43.2 9.8
The floor of the bathroom should be dry. 97.7 97.7
Drinking water helps prevent constipation. 98.5 99.2
There is no risk of infection during indwelling catheterization. 76.5 76.5
Mean±SD of score 3.16±0.79 2.83±0.55
t (p-value) 3.88 (<0.001)
Personal hygiene (10) Oral care should be performed even if the patient is unconscious. 58.3 53.8
Oral care is not required if you are wearing dentures. 90.9 81.8
Flossing before brushing helps prevent tooth decay. 54.5 22.7
The patient's hair is washed whenever the patient wishes. 55.3 68.2
Bedridden patients should not wash their hair or take a bath. 79.5 72.0
Wash arms and legs from top to bottom when taking a bath. 34.8 15.9
Wipe from front to back when washing the perineum. 86.4 87.9
Take a bath when your body is tired. 74.2 53.0
The time in the bathtub should be less than 5 minutes. 74.2 72.7
When changing clothes, put on and take off your healthy arm first. 65.2 74.2
Mean±SD of score 6.73±1.45 6.02±1.90
t (p-value) 3.42 (0.001)
Positioning and movement changes (5) Positional changes prevent muscle stiffness. 79.5 88.6
If patient have difficulty breathing, patient should lie down and rest. 53.8 29.5
The center of gravity should be lowered when moving the patient. 72.7 88.6
Back down when using a wheelchair on a ramp. 96.2 97.7
If the patient uses a cane to go down the stairs, they should go down the stairs in 20.5 10.6
that order: the cane, the healthy leg, and then the poor leg.
Mean±SD of score 3.23±0.95 3.15±0.70
t (p-value) 0.74 (0.461)
First Aid & Resuscitation (4) Hand washing is the most basic way to prevent infection. 96.2 99.2
When washing blood or body fluids, you should wash with cold water. 44.7 21.2
Bedsores are caused by poor blood circulation due to pressure. 90.9 92.4
If the patient suffocates, the Heimlich method is used as a first aid method. 77.3 92.4
Mean±SD of score 3.09±0.80 3.05±0.56
t (p-value) 0.45 (0.654)
Prevention of infectious bedsores (3) Convulsive patients should be stimulated and aroused. 40.9 63.6
Burn wounds need to be poured with cold water to cool them down. 82.6 87.1
During CPR, perform chest compressions and artificial respiration at a ratio of 30:2. 78.0 87.9
Mean±SD of score 2.02±0.83 2.39±0.82
t (p-value) -3.67 (<0.001)
Deathbed (1) Hearing is the last remaining sense at the time of death. 93.2 94.7
Mean±SD score 0.93±0.25 0.95±0.22
t (p-value) -0.51 (0.608)
Housekeeping support (4) If the patient wants it, he or she should help with all of the daily tasks. 73.5 53.0
Consent must be obtained before using or moving the patient's belongings. 94.7 96.2
Cooking and nutrition must be tailored to the patient's disease and characteristics. 97.0 100.0
Appropriate temperature, humidity, ventilation, and lighting prevent disease 97.7 94.7
exacerbation, infection, and complications.
Mean±SD of score 3.63±0.70 3.44±0.60
t (p-value) 2.36 (0.019)
Care service (5) Listening, trust, and empathy are key elements of communication. 95.5 98.5
Care services require collaboration with other professions and resources. 81.8 75.0
A care service provider can provide medical care. 87.1 81.1
Patients cannot be eligible for long-term care insurance unless they are aged 65 or older. 51.5 34.8
If the dementia patient makes a mistake, it should be pointed out and corrected each time. 81.1 62.1
Mean±SD of score 3.97±1.04 3.52±1.03
t (p-value) 3.57 (<0.001)

MTSZ, medical tourism special zone; SD, standard deviation.

1 Correct answer.

의료관광특구에서 정답률이 높은 문항 3가지는 ‘수분섭취는 변비 예방에 도움이 된다.’ 98.5%, ‘화장실 바닥은 물기가 있으면 안 된다.’ 97.7%, ‘적절한 온도나 습도, 환기, 채광 등이 질병 악화와 감염, 합병증을 예방한다.’ 97.7% 순이었고, 정답률이 낮은 문항 3가지는 ‘물약 투약 시 컵을 테이블 위에 놓고 따른다.’ 18.9%, ‘지팡이를 이용하여 계단을 내려올 때 지팡이, 건강한 다리, 불편한 다리 순으로 내려온다.’ 20.5%, ‘목욕 시 팔, 다리는 위에서 아래로 씻는다.’ 34.8% 순이었다.
그 외 지역에서 정답률이 높은 문항 3가지는 ‘조리 및 영양 등 대상자의 질병 및 특성에 맞춰야 한다.’ 100.0%, ‘수분섭취는 변비 예방에 도움이 된다.’ 99.2%, ‘손씻기는 가장 기본적인 감염예방법이다.’ 99.2% 순이었고, 정답률이 낮은 문항 3가지는 ‘요실금이 있으면 즉시 기저귀를 채운다.’ 9.8%, ‘지팡이를 이용하여 계단을 내려올 때 지팡이, 건강한 다리, 불편한 다리 순으로 내려온다.’ 10.6%, ‘물약 투약 시 컵을 테이블 위에 놓고 따른다.’ 15.9% 순이었다.

돌봄 서비스 종사자가 인지하는 보수교육 필요성

의료관광특구와 그 외 지역의 돌봄 서비스 종사자가 인지하는 보수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분석한 결과, 보수교육의 적정시간은 1시간 미만(27.3%, 32.6%),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31.1%, 30.3%), 보수교육의 적정기간은 1개월(21.2%, 21.2%) 또는 12개월(33.3%, 22.7%)이 대부분이었다. 지역과 상관없이 보수교육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였고, 보수교육 방법에 대해서도 비슷하게 생각하였다(Table 4).
Table 4.
Comparison of needs for continuing education in MTSZ and other regions
Categories Characteristics Medical tourism special zone Other regions χ2 (p-value)
n (%) n (%)
Necessity No need at all 9 (6.8) 15 (11.4) 4.57 (0.334)
No need 14 (10.6) 15 (11.4)
Commonly 10 (7.6) 16 (12.1)
Need 68 (51.5) 64 (48.5)
Absolutely need 31 (23.5) 22 (16.7)
Appropriate time for continuing education (h) <1 36 (27.3) 43 (32.6) 5.05 (0.410)
1-2 41 (31.1) 40 (30.3)
2-3 16 (12.1) 9 (6.8)
3-4 10 (7.6) 7 (5.3)
≥4 6 (4.5) 3 (2.3)
Appropriate period for continuing education (mon) 1 28 (21.2) 28 (21.2) 6.62 (0.215)
3 6 (4.5) 11 (8.3)
6 15 (11.4) 21 (15.9)
12 44 (33.3) 30 (22.7)
≥24 16 (12.1) 12 (9.1)
Continuing education will provide you with the knowledge you need in the service field No 20 (15.2) 16 (12.1) 8.16 (0.086)
Usually 33 (25.0) 54 (40.9)
Yes 79 (59.8) 62 (47.0)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continuing education courses No 18 (13.7) 14 (10.6) 1.05 (0.902)
Usually 41 (63.1) 44 (33.3)
Yes 73 (55.3) 74 (56.1)
Increased professionalization of caregiving service worker will increase job satisfaction No 13 (9.9) 22 (16.7) 9.04 (0.060)
Usually 35 (26.5) 31 (23.5)
Yes 84 (63.6) 79 (59.9)
Increased professionalization of caregiving service worker will raise the social status of caregivers No 18 (13.6) 19 (14.4) 6.49 (0.165)
Usually 33 (25.0) 37 (28.0)
Yes 81 (61.4) 76 (57.6)

MTSZ, medical tourism special zone.

고 찰

본 연구는 의료관광 증가 추세에 따라 돌봄이 필요한 환자의 유입이 의료관광특구로 지정된 부산 서구 소재 의료기관으로 증대될 것으로 판단하여 의료관광특구 내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역량을 파악하였고, 부산 서구 외의 부산지역의 돌봄 서비스 종사자와 비교하였다. 국내에서는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돌봄 서비스 종사자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였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의료관광특구 내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역량을 분석하여 발전 방향을 제시한 데에 의의가 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지역에 상관없이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성별은 여성이 90% 이상이었고, 연령의 중앙값은 64세이었으며, 최종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50% 이상이었다. 돌봄 서비스 종사자 직군 자체가 여성의 비율이 높고, 다른 장기요양인력과 비교하였을 때 연령대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최종 학력이 전문대 또는 대학교 졸업 이상보다 고등학교 졸업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17-19]. 자격증 없이 근무하는 돌봄 서비스 종사자는 의료관광특구에서 15명(11.4%), 그 외 지역에서 12명(9.1%)으로 각각 약 10%이었다. 간병인도 환자를 돌보지만 다른 보건의료직과 달리 학력, 면허 또는 자격증 여부 등의 취업과 관련된 제한이 없다. 이로 인해 아무런 자격증이 없는 간병인도 근무하고 있으며, 이는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전문성에 대한 지속적인 의구심을 제기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된다. 의료기관에는 환자의 건강을 위해 다양한 직군의 종사자가 근무하고 있지만, 역할만 다를 뿐 업무에 대한 고도화된 전문성이 요구된다. 돌봄 서비스 종사자도 다른 보건의료직처럼 학력, 자격증 등의 자격요건을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돌봄 서비스 종사자는 고령 여성의 비율이 높은데, 돌봄 서비스 특성상 환자의 욕창 예방을 위해 체위변경을 하거나 다리가 불편한 환자를 위해 이동에 도움을 줘야 하는 경우가 많다. 고령의 여성이 하기에는 신체적 한계가 있을 수 있고, 장기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근무에 대한 어려움의 첫번째 원인 중 5번째가 신체적 한계(10명)라고 응답하였다(Supplement Table 1). 파견업체 또는 의료기관은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운동프로그램을 통해 체력을 증진시키고 유지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각 변수의 점수 차이를 비교하면, 지식과 기술, 직무만족도는 의료관광특구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지식과 기술은 의료관광특구의 특성상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면서 중증도가 높은 환자를 많이 접하고, 이에 따라 지식과 기술이 그 외 지역의 종사자보다 높은 것으로 추론된다. 요양보호사에게 교육을 통한 지식과 기술의 이해도 향상은 증명되었는데[12], 돌봄 서비스 종사자에게 보수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할 수 있다.
지식과 기술을 살펴보면, 의료관광특구에서는 배뇨 및 배설, 개인위생, 가사지원, 요양서비스에 관한 문항의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고, 그 외 지역에서는 식이 섭취, 감염관리 및 욕창 예방에 관한 문항의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체위변경 및 이동, 응급처치 및 기본소생술에 관한 문항의 점수는 두 지역 간 차이가 없었다. 의료관광특구는 지역 특성상 상급종합병원의 비중이 높은데, 상급종합병원에서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확대되고 있고, 환자의 중증도가 높으므로 환자의 간호 처리를 간호사가 주도적으로 실시한다. 이에 의료관광특구의 돌봄 서비스 종사자는 기본적인 요양보호 위주로 하므로 배뇨 및 배설, 개인위생, 가사지원, 요양서비스에 대한 이해가 높지만 그 외 지역의 돌봄 서비스 종사자는 이와 반대로 위관영양, 욕창 예방 등의 업무도 하므로 식이 섭취, 감염관리 및 욕창 예방에 대한 점수가 높은 것으로 추론된다. 다만, 체위변경 및 이동, 응급처치 및 기본소생술에 관한 점수는 차이가 없었다.
정답률이 높은 문항과 낮은 문항은 여러 영역에서 분포되어 있어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지식과 기술이 특정 영역에 높거나 낮은 이해도를 보이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정답률이 높은 문항은 특별한 요양보호지식이 없어도 상식적으로 알 수 있는 문항이라면, 정답률이 낮은 문항은 보건의료인으로서 교육을 받지 않으면 알기 힘든 문항이었다. 투약, 이동, 감염관리 항목이 정답률이 낮았는데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옳지 않은 방법으로 제공할 경우 투약 사고, 낙상, 감염 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직무수행도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보수교육을 실시하여 그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보수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지역과 상관없이 보수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돌봄 서비스 종사자는 2시간 미만의 교육시간을 원하였고, 1개월 또는 12개월의 교육기간을 원하였다. 이것은 환자를 지속적으로 돌보아야 하는 직업적 한계에 따른 것으로 단기간에 짧게 보수교육을 받거나 연단위로 장기적인 보수교육을 통해 전문성을 향상시키기를 원하는 것으로 추론된다. 그러므로 보수교육의 시간은 1시간, 기간은 1개월이 적정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종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많고 연령대는 높으므로 오랜 시간의 교육은 집중력 하락과 같은 이유로 비효율적일 것이고, 환자를 지속적으로 돌보아야 하는 직업 특성상 오랜 시간 자리를 비우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의 의의 및 제안점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부산광역시에서의 의료관광특구 및 그 외 지역의 돌봄 서비스 대상자를 한 연구이므로 모든 돌봄 서비스 종사자에게 일반화하여 적용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선행연구가 미비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비교할 수 없어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지역 간 차이만 비교할 수밖에 없었다. 향후에는 돌봄 서비스 종사자와 다른 보건의료직군과 비교 분석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둘째, 설문응답자의 개인적 상황을 고려하지 못하여 개인적 성향에 대한 편향으로 나타날 수 있는 한계점을 지닌다. 향후에는 근속년수, 월 급여 등을 추가적으로 파악하고, 면접, 관찰 등의 다양한 자료수집방법을 통해 한계점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 구분 외에 다른 변수를 통제하기 어려웠다. 부산광역시 내 상급종합병원은 3개소가 있는데, 부산 서구는 이 중 2개소가 있으며, 종합병원이 추가로 2개소가 있다. 이러한 의료 인프라 차이로 의료관광특구로 지정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부산광역시의 다른 지역 상급종합병원을 포함시키기는 어려웠고, 수도권 등 타 지역의 상급종합병원은 지역 간 보정 및 실제 연구 수행의 어려움으로 인해 포함할 수 없었다. 결국, 본 연구에서 의료관광특구 간병인의 특징에는 상급종합병원 종사자의 특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
의료관광특구 지정 기간이 짧고,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라는 범유행 상황으로 아직까지 입원 및 요양치료를 하는 외국인 환자는 집계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연구 지역의 외국인 간병인 및 요양보호사의 수는 극히 적으며, 실제로 본 연구에서는 포함되지 않았다. 또한, 간병사와 요양보호사는 자격증에 따라 구분되며 법적으로는 업무 범위가 다르다. 하지만 의료기관에서는 업무의 차이가 불명확하며, 간병사 자격증과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중복으로 취득한 경우도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 직군은 명확하게 구분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결 론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지식과 기술, 전문성, 직무만족도, 보수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의료관광특구로 지정된 부산광역시 서구와 그 외의 부산지역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의료관광특구의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역량은 그 외 지역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으며, 부산광역시 서구가 의료관광특구로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근무환경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Supplementary Material

Supplement Table 1.

Difficulties related to work and reasons to feel rewarding
jhis-48-2-140-Supplementary-Table-1.pdf

REFERENCES

1. Korea Tourism Data Lab. Tourism status by region Gangwon-do: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20;Available at https://datalab.visitkorea.or.kr/datalab/portal/loc/getAreaDataForm.do [accessed on January 29, 2022].

2. Lee HS, Hong HA, Oh JY, Oh SM. 10 Years of attracting foreign patients, analyzing the impact of macro-environmental factors. Cheongju: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21. (Korean).

3. Seo-gu Offic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ction plan for each pledge project Busan Available at https://www.bsseogu.go.kr/ceo/index.bsseogu?menuCd=DOM_000001503004008000 [accessed on January 31, 2023].

4. Park JY, Hwang JI. Relationships among non-nursing tasks, nursing care left undone, nurse outcomes and medical errors in integrated nursing care wards in small and medium-sized general hospitals. J Korean Acad Nurs 2021;51(1):27-39. (Korean). DOI: 10.4040/jkan.20201.
crossref pmid pdf
5. Kim E, Jeong IS. Level of complete knowledge on five moments of hand hygiene among nurses working at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s. J Korean Acad Nurs 2021;51(4):454-464. (Korean). DOI: 10.4040/jkan. 21030.
crossref pmid pdf
6. Lee JS, Kim YA, Moon SM, Jeong EY, Park HY. Role ambiguity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 nurses: A concept analysis. Health Policy Manag 2019;29(4):502-512. (Korean). DOI: 10.4332/KJHPA.2019.29. 4.502.
crossref
7. Kim CJ, Sung DH, Yun JE. Analysis on the diversity of long-term care systems. Health Policy Manag 2007;17(1):75-93. (Korean). DOI: 10. 4332/KJHPA.2007.17.1.075.
crossref
8. Statistics Korea. Korea employment occupational classification 2018. Daejeon: Statistics Korea; 2018. (Korean).

9. Korea Statistics. The 7th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Daejeon: Korea Statistics; 2017. (Korean).

10. Lim SA. Care worker professional in the field of long-term care facilities. J Korean Long Term Care 2018;6(1):49-78. (Korean). DOI: 10.32928/ TJLTC.6.1.3.
crossref
11.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 Res Methods 2007;39(2):175-191. DOI: 10.3758/BF 03193146.
crossref pmid pdf
12. Jung JH. Comparison of knowledge on nursing care before and after training of nursing caregivers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Korea: 2009.

13. Hall RH. Professionalization and bureaucratization. Am Sociol Rev 1968;33(1):92-104. DOI: 10.2307/2092242.
crossref
14. Snizek WE. Hall's professionalism scale: An empirical reassessment. Am Sociol Rev 1972;37(1):109-114. DOI: 10.2307/2093498.
crossref
15. Park JW. A study on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ers [dis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994.

16. Steers RM, Porter LW. Motivation and work behavior. New York: Mc-Graw-Hill; 1983.

17. Kim SH, Noh YG. Effects of the violence experience and emotional labor on burnout among tertiary hospital nurses. J Health Info Stat 2022;47(4):290-296. (Korean). DOI: 10.21032/jhis.2022.47.4.290.
crossref pdf
18. Baek EB, Bae SH. Relationship between a university hospital nurses'structural empowerment and quality of nursing work lif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J Health Info Stat 2022;47(2):159-166. (Korean). DOI: 10.21032/jhis.2022.47.2.159.
crossref pdf
19. Yi YJ, Kang HS, Kwon SB, Kim JH, Park YS, Son HM, et al. Evaluation of the Korean formal educational program for training care workers for frail elderly. J Korean Acad Nurs 2010;40(6):872-881. (Korean). DOI: 10.4040/jkan.2010.40.6.872.
crossref pmid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XML Download  XML Download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upplement  Supplement
  Print
Share:      
METRICS
0
Crossref
989
View
26
Download
Related article
Editorial Offic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680 gukchaebosang-ro, Jung-gu, Daegu, 41944, Korea
E-mail: koshis@hanmail.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