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농업인의 쯔쯔가무시증 발생률: 농업인안전보험자료를 이용하여

The Scrub Typhus Incidence Rate of Agricultural Workers in South Korea: Using Farmers’ Safety Insurance Data

Article information

J Health Info Stat. 2022;47(4):357-362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November 30
doi : https://doi.org/10.21032/jhis.2022.47.4.357
Researcher,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Korea
최동필orcid_icon, 김경수orcid_icon, 이민지,orcid_icon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인안전보건팀 연구원
Corresponding author: Minji Lee 310 Nongsaengmyeong-ro, Deokjin-gu, Jeonju 54875, Korea Tel: +82-63-238-4179, E-mail: minji08@korea.kr
*This work was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of the “Cooperative Research Program for Agriculture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No. PJ0135550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ceived 2022 October 26; Revised 2022 November 28; Accepted 2022 November 30.

Trans Abstract

Objectives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rate of Scrub typhus in farmer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2016 to 2021 in the farmers’ safety insurance from NongHyup Life Insurance. The incidence was defined as a newly diagnosed patients with Scrub typhus in 2016-2020. The incidence rate was confirmed by sex, age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Results

The age-standardized incidence rate of Scrub typhus was 115 per 100,000 people from 2016 to 2020. The crude rate was presented to be 8.9, 43.8, 79.9, 127.2, 156.3, and 174.3 per 100,000 people, respectively, in the 40s to 80s or over. According to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highest crude rate was 201.6 and 193.0 per 100,000 people in Jeonnam and Gyeongnam, respectively, and the lowest crude rate was 6.0 per 100,000 people in Gangwon. And the monthly incidence was 54.3% in November and 32.0% in October, concentrated in autumn.

Conclusions

The age-standardized incidence rate of Scrub typhus in Korea was 115.1 per 100,000 people, and it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southern regions in term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increased with age. Based on this,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helpful in establishing a management plan to prevent Scrub typhus.

서 론

쯔쯔가무시증은 설치류에 기생하는 털진드기(Leptotrombidium mite)가 매개하는 Orientia tsutsugamushi 균에 의해 발생하며, 법정감염병 분류기준 제3군 감염병에 속하는 국내 대표적인 가을철 열성질환 중 하나이다[1,2]. 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인 아프가니스탄에서, 중국, 한국, 남서태평양의 섬, 북부 호주까지 광범위하게 발생하였다[3]. 최근 태평양에 인접한 남아메리카의 칠레에서도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4]. 국내 쯔쯔가무시증의 발병자는 1998년 이전까지는 300명 이하였으나, 2000년 1,785명으로 급속도로 증가하여, 최근 5년간(2016년 11,105명, 2017년 10,528명, 2018년 6,668명, 2019년 4,005명, 2020년 5,915명) 연평균 7,000명 이상의 환자가 보고되었다[5,6].

쯔쯔가무시증 발병자 증가의 중요 이유로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 따르면 지구의 산업화, 도시화, 온실효과에 따른 온난화로 생물의 종과 개체수 변화가 전반적인 감염병에 영향을 미치고 진드기, 모기 등과 같은 감염병 매개체의 활동 시기와 분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하였다[7]. 온도 변화에 따른 전염병 발생을 예측한 국내 연구 결과에서도 온도가 섭씨 1도 상승할 경우 쯔쯔가무시증 발생이 5.98%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8].

쯔쯔가무시증은 가을 수확 작업이 이뤄지는 시기에 많고, 발생한 환자들의 공통적인 특징이 밭농사, 나물채취 등 주로 땅이나 풀밭에 않거나 가까이 접촉하여 일하는 농작업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쯔쯔가무시증 발생은 농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912]. 인접 국가인 일본과 대만에서도 고령이면서 야외활동을 많이 하는 농업활동을 하는 사람에게 쯔쯔가무시증의 발생비율이 높았다[1315].

국내 쯔쯔가무시증 발생률과 관련하여 전 국민 자료를 이용한 Kim [16]에서는 질병관리청의 감염병감시체계 자료를 이용하여 2001-2013년에 쯔쯔가무시증이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쯔쯔가무시증의 연령표준화발생률을 확인하였지만 최근 발생 현황은 아니며 쯔쯔가무시증 발병자 특성상 대부분 농업인 임을 고려하면 국내 농업인의 전반적 현황을 파악하기에는 충분치 않았다.

농업인의 감염병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을 위해 국내 농업인의 쯔쯔가무시증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정책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본 연구는 농업인안전보험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농업인의 연령별, 지역별, 시기별 쯔쯔가무시증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분석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자료는 농업인안전보험에 의하여 가입 및 보상이 이루어진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농업인안전보험은 만 15-87세의 영농활동에 종사하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며, 사업을 관장하는 곳은 NH농협생명이다. 이에 NH농협생명으로부터 제공받은 최근 6년간(2016년 1월 1일-2021년 12월 31일)의 자료인 가입(2016년: 685,005건, 2017년: 655,576건, 2018년: 751,456건, 2019년: 790,491건, 2020년: 821,429건)과 보상지급(2016년: 143,963건, 2017년: 132,180건, 2018년: 160,276건, 2019년: 192,331건, 2020년: 242,825건, 2021년: 283,613건) 청구 자료를 이용하여 연령, 접수번호, 접수지역 및 중복 등 그 밖의 필요한 자료가 불충분한 것을 제외하고 분석 대상에 포함하였다. 또한, 농업인안전보험의 가입형태 중 ‘부부형’의 경우 가입은 1건이지만 실제 가입된 사람은 2명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가입자료 3,980,505명과 보상지급자료 141,24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쯔쯔가무시증의 진단은 ‘제8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The 8th edition of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8)에 진단코드인 ‘ A753’이 청구 자료에 기록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의 쯔쯔가무시증 조율과 연령표준화발생률을 산출하였다. 쯔쯔가무시증 발생 년도의 경우 보험 청구에 따른 지급이 익년까지 주로 이뤄지므로 매 2년간의 청구 자료를 통합하여 발생 시기를 확인하였다. 발생자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쯔쯔가무시증에 한 번이라도 진단받아 농업인안전보험에 청구한 사람이며, 조율은 5년간(2016-2020년) 쯔쯔가무시증이 발생한 농업인을 동일 기간 농업인안전보험에 가입된 농업인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또한, 성별, 연령 및 지역 간 발생 현황 비교를 위해 표준인구를 2015년 농림어업총조사의 연령구조를 반영하여 조율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직접표준화방법으로 연령표준화발생률을 계산하였다.

=(×)×100,000

월별 발생 증감 추세를 확인하기 위해 5년간(2016-2020년) 발생한 쯔쯔가무시증의 월별 발생비율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인구학적 특성 및 가입현황

연구자료의 기본적 특성으로 연구대상의 연도별 가입자 수는 2016년 744,194명, 2017년 709,777명, 2018년 806,692명, 2019년 845,310명, 2020년 874,532명이었다. 연구 대상자의 남자 비율은 2016년 63.0%, 2017년 63.8%, 2018년 62.9%, 2019년 62.8%, 2020년 62.9%로 여자보다 많이 가입하였다. 연령별 비율은 모든 연도에서 나이가 증가하면서 가입자 수가 많았고, 특히 가입자를 60세 이상으로 한정할 때 전체 가입자의 약 70% 이상이 되었으며, 가입자의 평균연령은 약 65세이다. 지역별로 전반적인 가입자 비중은 경상도 지역이 가장 많았고 전라도, 충청도 등의 순이다(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between 2016 and 2020

연령대별 쯔쯔가무시증 발생률

5년간(2016년부터 2020년까지) 쯔쯔가무시증이 발생한 농업인은 4,765명이었다. 연령을 10세 단위로 구분하여 조율을 확인한 결과, 40대미만, 40대, 50대, 60대, 70대, 80대 이상에서 10만 명당 각각 28.9명, 43.8명, 79.9명, 127.2명, 156.3명, 174.3명으로 연령이 증가하면서 조율도 증가하였으며, 60세 이상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연령표준화발생률은 10만 명당 115.1명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별로 여자의 연령표준화발생률은 10만 명당 158.7명으로 남자 89.4명에 비해 많이 발생했다(Table 2).

The incidence rate of scrub typhus according to age group

지역별 쯔쯔가무시증 발생률

쯔쯔가무시증 조율을 도별 연령대로 나누어 확인한 결과, 10만 명당 60, 70, 80대 이상에서는 전라남도가 212.1명, 259.5명, 288.5명으로 가장 높은 조율을 보였고, 경상남도도 229.5명, 242.2명, 217.6명으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반면, 강원도는 60대가 10.9명, 70대가 8.0명으로 가장 낮았다. 전반적으로 모든 지역에서 연령이 증가하면서 조율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Table 3).

The incidence rate of scrub typhus according to administrative districts

도별 연령표준화발생률을 확인한 결과, 10만 명당 전라남도가 201.6명, 경상남도 193.0명, 전라북도 153.2명, 충청남도 121.7명 등의 순으로 높았다. 가장 낮은 발생 지역은 강원도로 10만 명당 6.0명의 연령표준화발생률을 보였다(Figure 1).

Figure 1.

The age-standardized incidence rate of scrub typhus according to administrative districts.

시기별 쯔쯔가무시증 발생현황

5년간(2016년부터 2020년까지) 월별 쯔쯔가무시증 발생비율을 확인한 결과, 11월과 10월이 각각 54.3%, 32.0%로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보여 전체의 86.3%를 차지하였으며, 2월이 0.2%, 1월 0.4%, 3월 0.6%로 가장 낮은 발생비율을 보였다(Figure 2).

Figure 2.

Proportion of monthly incidence of scrub typhus.

고 찰

감염병을 보고하는 질병관리청에 의하면 국내 쯔쯔가무시증 전체 발생률은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인구 10만 명당 적게는 7.7명에서 많게는 21.5명이었다[17].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과 후생노동성 결과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6년까지의 감염병 보고자료를 분석한 결과 인구 10만 명당 32.7명이 발생하였고[18], 중국에서는 2006년부터 2016년까지의 중국질병통제예방센터의 감염병 보고자료를 이용하여 인구 10만 명당 0.1명에서 1.6명으로 늘어 매년 약 32%씩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19], 대만의 경우도 국가질병감시체계 자료 분석 결과 2005년 인구 10만 명당 4.7명에서 2013년 17.1명으로 증가하였다[20]. 또한, 앞선 연구들 모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률이 증가함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농업인안전보험에 가입된 농업인 중 쯔쯔가무시증이 발생한 농업인은 4,765명이었다. 연령표준화발생률은 10만 명당 115.1명, 여자는 158.7명, 남자는 89.4명이었으며, 40대 미만에서 80대 이상까지 10만 명당 각각 28.9명, 43.8명, 79.9명, 127.2명, 156.3명, 174.3명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조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쯔쯔가무시증 발생이 이전에 보고된 연구들보다 높았는데 이전 연구들이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하였다면, 본 연구는 쯔쯔가무시증 발생의 주된 발병자인 농업인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조율이 증가하는 결과는 이전 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1720]. 또한 60대 이상부터 급격하게 증가한 발생률을 보였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농촌지역에서 면역력이 비교적 낮고 체력이 약한 고연령군인 60세 이상이 농작업 중 풀밭에서 자주 쉬거나 질병에 대한 인식 부족 및 미흡한 예방조치로 털진드기에 대한 노출 기회가 많아 쯔쯔가무시증에 쉽게 감염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역별 쯔쯔가무시증 연령표준화발생률을 확인한 결과, 60대 이상 기준으로 전라남도가 가장 높았고, 강원도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도별 연령표준화발생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라남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순이었으며 가장 낮은 지역은 강원도, 제주도, 경기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별 차이는 강원도, 제주도 등은 산과 산림이 많지만, 논과 밭의 면적이 작아 경작지 주변의 풀숲이나 관목숲에 주로 서식하는 털진드기에 농업인이 접촉할 기회가 적기 때문으로 보인다. 선행연구에서도 지역별 쯔쯔가무시증 발생의 차이가 나는 이유로 털진드기 분포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하고 있는데 본연구와 유사한 고 발생 지역은 털진드기 분포가 높고, 저 발생 지역은 털진드기 분포가 낮아 환자 발생에 영향을 크게 주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0].

쯔쯔가무시증 발생의 주요 시기는 10월과 11월로 전체 발생의 86.3%로 확인되었다. 이는 털진드기 유충 번식기와 일치하며 이러한 뚜렷한 계절적 분포를 보이는 특성을 고려해 잠복기 시점인 9월부터 11월까지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집중적인 예방교육과 보호구 배포, 홍보 등의 적극적인 활동을 농업인에게 수행한다면 실효성 있는 환자 감소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농업인에게 농작업 활동 중에 발생 가능성이 큰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 대책을 위해 인식개선 및 예방 교육, 작업복 개발 등을 하고 있으며, 또한, 질병관리청과의 업무협력을 통해 교육과 홍보를 같이 하고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농업인안전보험의 청구 자료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전체 농업인의 약 70%가 가입되어 있다는 점에서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지만, 보험 청구를 하지 않은 일부 농업인은 제외되었을 수 있다는 점에서 농업인 전체의 발생 분포로 해석하는 것은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보험 청구 자료 특성상 쯔쯔가무시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학적 및 그 밖의 변수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8세 이상 전체 농업인만을 대상으로 쯔쯔가무시증의 발생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현재 질병관리청의 국가 감염병 감시체계를 통해 국내 인구의 쯔쯔가무시증 발생 규모를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인구 10만 명당 7.7명에서 21.5명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같은 기간인 5년간 쯔쯔가무시증으로 진단받아 청구 지급받은 농업인의 연령표준화발생률이 인구 10만 명당 115.1명이라는 점에서 농업인의 쯔쯔가무시증을 간과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 본연구는 대다수 농업인이 가입된 농업인안전보험 가입 및 청구 자료를 이용하여 쯔쯔가무시증의 성별, 연령별, 지역별 연령표준화발생률과 시기별 발생 현황 등을 파악한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한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기존의 농업인안전보험 청구자료만으로는 명확한 쯔쯔가무시증 발생의 원인 및 현황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보험 청구서의 수집 항목에 농업 활동 특성이 고려된 내용을 추가 개발하고, 이후 실증기반의 보험자료를 통해 분석된 쯔쯔가무시증 발생 현황에 따라 농업인의 안전한 노동 활동을 위한 합리적인 예방정책 수립이 필요하겠다.

References

1. . Go SJ. Epidemiological survey of the autumnal febrile disease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Master of Public Health; Korea,. 2008.
2.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etermination of vector species of tsutsugamushi disease and their geographical distribution in Korea Cheongju: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p. 841–844. (Korean).
3. . Kelly DJ, Fuerst PA, Ching WM, Richards AL. Scrub typhus: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phenotypic and genotypic variants of Orientia tsutsugamushi. Clin Infect Dis 2009;48(Suppl 3):S203–S230. DOI: 10. 1086/596576.
4. . Tomas W, Constanza MW, Gerardo AJ, Ju J, Richards AL, Abarca K. Scrub typhus in continental Chile, 2016-2018. Emerg Infect Dis 2019;25(6):1214–1217. DOI: 10.3201/eid2506.181860.
5. . Kweon SS, Choi JS, Lim HS, Kim JR, Kim KY, Ryu SY, et al. Rapid in-crease of scrub typhus, South Korea, 2001-2006. Emerg Infect Dis 2009;15(7):1127–1129. DOI: 10.3201/eid1507.080399.
6. . Jo KS, Choi MS, You DY, Kang YS. 2021 Incidences of infectious disease and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and deaths of infectious disease, the Republic of Korea. Public Health Weekly Rep 2022;15(27):1930–1934. (Korean).
7. .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strategy: from malaria control to elimination 2006-2015 in the WHO European Region Copenha-gen: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2006. p. 2.
8. . Shin HS, Kim DJ. Climate change and infectious disease in South Korea. Epidemiology 2009;20(6):S175. DOI: 10.1097/01.ede.0000362592. 68105.3c.
9. . Kim SH, Jang JY. Correlations between climate change-related infec-tious diseases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10;43(5):436–444. (Korean). DOI: 10.3961/jpmph.2010.43. 5.436.
10. . Seo CW.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regional occurrence distribution of scrub typhus: 2012-2016. Korean J Clin Lab Sci 2019;51(4):420–427. (Korean). DOI: 10.15324/kjcls.2019.51.4.420.
11. . Choi JS, Lim HS, Kim JR, Ryu SY, Kim KY, Kweon SS. A study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prevention for tsutsugamushi disease Cheongju: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p. 147–159. (Korean).
12. . Min YS, Lim HS, Lee K, Jung C, Cheong HK. A study on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scrub typhus in Gyeongsangbuk-do, 1999-2001. Korean J Epidemiol 2005;27(2):70–79. (Korean).
13. . Bang HA, Lee MJ, lEE WC. Comparative research on epidemiological aspects of tsutsugamushi disease (scrub typhus) between Korea and Japan. Jpa J Infect Dis 2008;61(2):148–150.
14. . Matsui T, Kramer MH, Mendlein JM, Osaka K, Ohyama T, Takahashi H, et al. Evaluation of national tsutsugamushi disease surveillance- Japan, 2000. Jpn J Infect Dis 2002;55(6):197–203.
15. . Lee YS, Wang PH, Tseng SJ, Ko CF, Teng HJ. Epidemiology of scrub typhus in eastern Taiwan, 2000-2004. Jpn J Infect Dis 2006;59(4):235–238.
16. . Kim SJ.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scrub typhus outbreaks in Korea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Korea,. 2015.
17.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fectious diseases surveillance yearbook, 2021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2. p. 34–35. (Korean).
18. . Kinoshita H, Arima Y, Shigematsu M, Sunagawa T, Saijo M, Oishi K, et al. Descriptive epidemiology of rickettsial infections in Japan: scrub typhus and Japanese spotted fever, 2007-2016. Int J Infect Dis 2021;105:560–566. DOI: 10.1016/j.ijid.2021.02.069.
19. . Li Z, Xin H, Sun J, Lai S, Zeng L, Zheng C, et al. Epidemiologic chang-es of scrub typhus in China, 1952-2016. Emerg Infect Dis 2020;26(6):1091–1101. DOI: 10.3201/eid2606.191168.
20. . Wangrangsimakul T, Elliott I, Nedsuwan S, Kumlert R, Hinjoy S, Chai-siri K, et al. The estimated burden of scrub typhus in Thailand from national surveillance data (2003-2018). PLoS Negl Ttrop Dis 2020;14(4):e0008233. DOI: 10.1371/journal.pntd.0008233.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between 2016 and 2020

Year 2016 2017 2018 2019 2020 Total
Total (n) 744,194 709,777 806,692 845,310 874,532 3,980,505
Sex Female 469,147 452,764 507,615 530,522 549,693 2,509,741
Male 275,047 257,013 299,077 314,788 324,839 1,470,764
Age (y) <40 16,098 13,904 15,998 19,221 17,857 83,078
40-49 59,628 50,416 52,900 51,486 50,179 264,609
50-59 188,481 172,041 184,324 182,610 176,241 903,697
60-69 249,432 248,016 284,269 300,265 318,252 1,400,234
70-79 196,164 187,621 219,230 232,439 243,790 1,079,244
≥80 34,391 37,779 49,971 59,289 68,213 249,643
District Gangwon 38,581 35,269 39,801 42,708 50,775 207,134
Gyeonggi 54,240 46,972 73,842 84,150 89,913 349,117
Gyeongnam 138,506 130,541 143,407 150,747 149,914 713,115
Gyeongbuk 121,297 124,664 136,791 138,561 139,376 660,689
Jeonnam 100,585 100,227 110,717 114,553 122,681 548,763
Jeonbuk 80,843 80,408 93,006 94,739 97,548 446,544
Chungnam 132,954 119,981 129,433 134,747 138,722 655,837
Chungbuk 43,727 42,756 47,270 49,459 50,199 233,411
Jeju 33,461 28,959 32,425 35,646 35,404 165,895

Table 2.

The incidence rate of scrub typhus according to age group

Age (y) Male Female Total
New cases Incidence rate New cases Incidence rate New cases Incidence rate
n % n % n %
<40 16 24.6 8 44.6 24 28.9
40-49 73 39.8 43 53.0 116 43.8
50-59 297 54.0 425 120.1 722 79.9
60-69 866 100.1 915 171.1 1,781 127.2
70-79 852 124.6 835 211.1 1,687 156.3
≥80 237 146.3 198 225.8 435 174.3
Crude rate 93.3 (89.5-97.1) 164.8 (158.3-171.4) 119.7 (116.3-123.1)
Age-standardized rate 89.4 (83.3-95.4) 158.7 (150.6-166.8) 115.1 (110.3-120.0)

Incidence rate: Per 100,000 persons.

*Crude and age-standardized rate are presented incidence rate and 95% confidence interval.

Table 3.

The incidence rate of scrub typhus according to administrative districts

District Age (y) Incidence rate
Gangwon Crude rate 6.8 (3.2-10.3)
Age-standardized rate 6.0 (1.8-10.3)
Gyeonggi Crude rate 22.6 (17.6-27.6)
Age-standardized rate 21.3 (15.6-27.0)
Gyeongnam Crude rate 200.5 (190.2-210.9)
Age-standardized rate 193.0 (176.0-210.0)
Gyeongbuk Crude rate 64.8 (58.7-70.9)
Age-standardized rate 63.8 (55.4-72.2)
Jeonnam Crude rate 207.7 (195.7-219.8)
Age-standardized rate 201.6 (184.7-218.5)
Jeonbuk Crude rate 157.7 (146.0-169.3)
Age-standardized rate 153.2 (134.7-171.6)
Chungnam Crude rate 127.3 (118.7-136.0)
Age-standardized rate 121.7 (108.2-135.1)
Chungbuk Crude rate 42.4 (34.1-50.8)
Age-standardized rate 40.5 (29.6-51.4)
Jeju Crude rate 21.7 (14.6-28.8)
Age-standardized rate 21.0 (9.1-32.9)

Incidence rate: Per 100,000 persons.

Crude and age-standardized rate are presented incidence rate and 95% confidence interval.

Figure 1.

The age-standardized incidence rate of scrub typhus according to administrative districts.

Figure 2.

Proportion of monthly incidence of scrub typh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