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의사소통 능력이 보건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Factors Influencing Teacher Efficacy: The Impact of Awareness of Sexual Media Litera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Health Teachers

Article information

J Health Info Stat. 2023;48(4):374-381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November 30
doi : https://doi.org/10.21032/jhis.2023.48.4.374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Kyungil University, Gyeongsan, Korea
박용경orcid_icon, 김은휘orcid_icon, 최문지orcid_icon, 하영선,orcid_icon
경일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Young-Sun Ha. 50 Gamasil-gil, Hayang-eup, Gyeongsan 38428, Korea Tel: +82-53-600-5673, E-mail: ysha@kiu.ac.kr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ceived 2023 November 13; Revised 2023 November 24; Accepted 2023 November 30.

Trans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eacher efficacy, awareness of sexual media litera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health teachers.

Methods

A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included 102 health teachers in K-do.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5 to 12,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rough the SPSS 29.0 program.

Results

The influential factor for teacher efficacy was communication competence (β =0.34, p <0.001). This factor accounted for 22.5% of the teacher efficacy among health teachers.

Conclusions

To develop a program that increases teacher efficacy among health teacher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e.

서 론

보건교사는 보건교과가 필수교과로 지정되기 이전부터 학생들의 건강문제 관리는 물론 보건교육에 대한 요구 및 학교장 재량에 의한 보건교육을 수행해 온 전문인력이다[1]. 최근 학교보건법 개정에 의하여 보건교육이 강화되면서 보건교사는 의료인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보건교과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교사로서의 역할에 대해서도 전문성을 요구받고 있다[2].

교사 효능감이란 교사가 학생의 학업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다[3]. 교사 효능감은 교사의 전문성을 판단하는 기준의 하나로[4]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가르치는 상황에서 교수 전략을 사용하고 의사결정하는 과정과 관련 있다[5]. 교사 효능감은 보건교사의 능동적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고[2] 전문성 향상에 핵심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기도 하다[6]. 그러므로 보건의료 전문가일 뿐만 아니라 교육에 대한 전문성 또한 요구되는 보건교사에게 교사 효능감은 강조해야 하는 변인이다[7]. 이에 보건교사의 교육 효능감 증진을 위한 요인들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성 미디어 리터러시란 남성과 여성을 뜻하는 ‘성’과 미디어에 대한 이미지, 음성, 메시지의 영향력에 접근, 분석, 평가,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를 결합한 용어로[8] 미디어를 통해 받아들여지는 성 정보에 대한 접근, 분석, 평가, 소통 능력을 말한다[9]. 청소년기는 성적발달 측면에서 미성숙한 존재로 이 시기에 성과 관련된 올바른 이해와 가치관을 정립하기 위한 성교육이 필요하다[10]. 청소년들은 텔레비전이나 영화, 비디오 이외에도 인터넷이나 SNS 등의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폭력적이거나 왜곡된 성 관련 정보에 쉽게 노출되고 있다[11]. 이러한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무분별한 정보들은 성태도의 변화에 영향을 주어 사회통념상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12]. 이에 여성가족부에서는 청소년을 위한 미디어 성 평등 환경 조성을 위한 방향으로 성인지적 관점에서 미디어를 ‘리터러시’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성인지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제시하였다[13]. 그러나 미디어 속의 성 관련 코드를 해석할 수 있는 교육내용은 제한적이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성과 관련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이루어진 바가 없으며, 학교 현장에는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미디어 속의 성 관련 코드를 리터러시 할 수 있도록 학생들을 교육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교사가 부족한 실정이다[14]. 보건교사 중 78%가 학교에서 성교육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15] 효과적인 학생 성교육 실시를 위해서는 보건교사들의 성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14]. 교육은 담당하는 교사들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성교육 담당교사가 성교육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느냐에 따라 성교육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15]. 따라서 보건교사들의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에 대하여 먼저 파악할 필요가 있고,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리터러시가 강한 청소년 학생들을 교육하기 위한 교사 역량과 교사 효능감을 높여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한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연구는 드물고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과 교사 효능감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의사소통 능력은 미래 평생학습사회를 살아가는 개인의 핵심 역량이다. 특히 교사의 의사소통 능력은 개인 차원을 넘어서 교수·학습활동과 학생 생활 지도의 가장 보편적인 도구이자 학생, 학부모, 동료교원 등 학교 구성원들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높여줄 수 있는 수단으로 매우 중요한 역량이다[16]. 교사가 자신의 느낌과 의미를 상대방과 교환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이 뛰어나다면, 이로 인해 업무에 대한 주관적인 자신감이라 할 수 있는 교사 효능감이 높아질 수 있다[17]. 즉 교사의 의사소통 능력은 단순히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넘어서 교사로서의 효능감과 직업에 대한 만족감을 향상시켜주는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18]. 그러므로 보건교사 교사 효능감 증진을 위하여 의사소통 능력 강화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보건교사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파악과 교사 효능감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건교사의 성 미디어 리터리시 인식, 의사소통 능력, 교사 효능감 정도를 파악하고,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보건교사의 교사 효능감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연구설계

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의사소통 능력, 교사 효능감 정도를 파악하고, 보건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

본 연구는 K도의 초·중등학교에서 근무 중인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에서는 G-power 3.1.9.7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α=0.05, 중간효과 크기 0.15, 검정력 0.80, 독립변수 5개,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92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탈락률 10%를 고려하여 총 104명의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완전하게 작성된 설문지 2부를 제외한 102명의 설문지를 최종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도구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은 Baek et al. [14]이 개발한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측정 도구를 Baek [19]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총 22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4점의 Likert 척도로 측정되고, 점수가 높을수록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Cronbach's α)는 개발 당시 0.95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0.92이었다.

의사소통 능력

의사소통 능력은 Fritz et al. [20]이 개발한 도구를 기반으로 Choi and Jo [21]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총 25문항으로 의사소통의 집중도 5문항, 이해와 해석 5문항, 분석과 평가 5문항, 반응 5문항, 기억 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의 Likert 척도로 측정되고, 점수가 높을수록 의사소통 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Choi and Jo [21]의 연구에서 전체 0.91이었고, 집중도 0.70, 이해와 해석 0.72, 분석과 평가 0.70, 반응 0.70, 기억 0.70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0.91, 집중도 0.71, 이해와 해석 0.72, 분석과 평가 0.82, 반응 0.67, 기억 0.73이었다.

교사 효능감

교사 효능감은 Kim and Kim [22]이 개발한 측정 도구를 기반으로 Jang [23]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총 24문항으로 자신감 7문항, 자기조절감 11문항, 도전감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의 Likert 척도로 측정되고, 점수가 높을수록 교사 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Jang [23]의 연구에서 전체 0.89이었고, 자신감 0.83, 자기 조절감 0.92, 도전감 0.72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0.71, 자신감 0.83, 자기 조절감 0.87, 도전감 0.81이었다.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교원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연구의 목적, 배경, 진행 과정 등을 상세히 설명하였고 언제든지 연구 참여를 철회할 수 있다고 안내하였다. 모든 자료는 무기명 처리되며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될 것임을 설명하고, 참여자들의 동의서를 받은 후 설문을 진행하였다. 개인 식별이 가능한 정보는 수집하지 않았으며, 설문 완료 후 소정의 선물을 제공하여 최대한의 윤리적 고려를 하였다.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를 SPSS 29.0 (IBM Co., Armonk, NY, USA)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 검정, 분산분석, Scheffe 검정, Pearson 상관계수, 다중 선형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의사소통 능력, 교사 효능감

연구대상자는 모두 여성이었고, 50세 이상이 39.2%로 가장 많았다. 교육 수준은 학사 학위자가 68.6%로 가장 많았고, 기혼자가 62.7%를 차지하였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건강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53.9%로 가장 높았고, 소속 학교는 초등학교가 53.9%로 가장 많았다. 임상 경력은 0-5년이 71.6%로 가장 많았고, 보건교사 경력도 0-5년이 57.8%로 가장 많았다. 성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경험은 있음이 40.2%로 조사되었다. 보건교사 업무에 대한 일반교사의 협조 정도는 협조적인 비율이 53.9%, 학부모의 협조 정도는 협조적인 비율이 46.1%, 행정지원 정도는 보통이 37.3%로 가장 높았다. 직무 만족도는 만족이 59.8%로 가장 높았다.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은 연령(F=3.17, p =0.028), 결혼 유무(t=2.26, p =0.026), 보건교사 경력(F=5.83, p =0.004), 보건교사 업무에 대한 일반교사의 협조 정도(F=4.04, p =0.009), 학부모 협조 정도(F=4.93, p = 0.00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사소통 능력은 보건교사 업무에 대한 일반교사의 협조 정도(F= 4.60, p =0.005), 학부모 협조 정도(F=2.87, p =0.04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사 효능감은 주관적 건강 상태(F=3.26, p =0.025), 소속 학교(F=3.20, p =0.027), 성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경험(t=2.44, p =0.01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학부모 협조 정도가 매우 비협조적이라고 답한 대상자의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매우 협조적이라고 답한 대상자는 의사소통 능력이 유의하게 높았다(Table 1).

Differences of awareness of sexual media literacy, communication competence,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102)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의사소통 능력, 교사 효능감 점수

대상자의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은 평균 74.33±7.82점, 의사소통 능력은 평균 95.55±9.67점, 교사 효능감은 평균 82.36±9.01점이었다(Table 2).

Degree of awareness of sexual media literacy, communication competence, teacher efficacy (n=102)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의사소통 능력, 교사 효능감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과 의사소통 능력 중 반응과 상관관계가 있었다(r=0.24, p =0.014).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과 교사 효능감 중 자기조절감과 상관관계가 있었다(r=0.21, p =0.033). 의사소통 능력과 교사 효능감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었고(r=0.44, p <0.001),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감(r=0.56, p <0.001), 도전감(r=0.30, p =0.002)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Table 3).

Correlations among awareness of sexual media literacy, communication competence, teacher efficacy (n=102)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의사소통 능력과 일반적 특성 중 교사 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주관적 건강상태, 소속기관, 성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고려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의 자기 상관과 독립변수 간의 다중공선성을 확인하였고, 종속변수의 Durbin-Waston 지수는 1.949로 자기 상관이 없어 독립적이었고, 독립변수 간의 다중공선성은 분산팽창지수가 1.004-1.104로 기준치인 분산팽창지수 10 미만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기에 적합하였다. 회귀 모형의 적합성 검정은 잔차 분석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표준화된 잔차의 Kolmogorov-Smirnov 검정 결과 p =0.200으로 정규성 가정을 만족하였으며, 등분산 그래프를 확인한 결과 무작위로 분포되어 있어 등분산 가정을 만족하였다.

분석 결과 의사소통 능력(β =0.34, p <0.001)이 교사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모형의 설명력은 22.5%이었다. 따라서 의사소통 능력이 높을수록 보건교사의 교사 효능감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Table 4).

Factors influencing on teacher efficacy (n=102)

고찰 및 결론

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의사소통 능력, 교사 효능감 정도를 파악하고, 보건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보건교사의 교사 효능감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보건교사의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점수는 평균 74.33±7.82점으로 100점 환산값이 84점이었다. 이는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같은 도구로 측정한 77점보다 조금 낮은 점수이었다[14]. 다른 대상자인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성 미디어 리터러시 100점 환산값 80점보다는 높았다[9]. 그러나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에 대한 연구는 현재 거의 찾아보기 힘든 실정으로 정확한 비교는 불가능하다. 미디어 리터러시 중심 성교육 프로그램 효과에서 교사들은 ‘미디어 리터러시 중심 성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느꼈지만 아직 교육에 대해서는 자신이 없다’는 응답을 하여 학교 현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중심 성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에 대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14]. 따라서 성교육 담당교사들에게 체계적인 성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제공하여 성교육 역량을 강화시키고,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인 성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14]. 우리나라의 미디어 관련 교육은 양적으로 팽창하였으나 내용이나 질은 그다지 풍성하지 못하다[14]. 그러므로 청소년들의 건강하고 올바른 성교육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보건교사들의 성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이해와 성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 연구들이 격려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에서 보건교사의 의사소통 능력은 평균 95.55±9.67점으로 100점 환산값이 77점이었다. 하부요인별 점수는 집중도 79점, 이해와 해석 77점, 분석과 평가 78점, 반응 78점, 기억 70점이었다. 이는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보육교사의 의사소통 능력 81점보다 낮았다[24]. 하위요인별 점수는 집중도 85점, 이해와 해석 81점, 분석과 평가 81점, 반응 83점, 기억 61점으로 기억 분야에 대한 의사소통 능력이 많은 점수 차이로 가장 낮은 것이 동일하였다[24].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의사소통 능력 중 반응과 기억이 행복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였다[24]. 즉, 교육현장에 일어날 수 있는 부정적인 상황에 대해서는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고, 그 장면을 오랫동안 기억하지 않으며, 대신 긍정적인 경험으로 전환하여 행복감을 높이도록 하였다[24]. 보건교사 또한 학생, 학부모, 직원들과의 많은 상황에서 의사소통 능력 강화를 요구받고 있는데, 선행연구처럼 반응 및 기억에 대한 하위영역을 올리기 위한 방안은 제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생각된다. 다른 도구로 영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였을 때 100점 환산값으로 72점[25], 보육교사의 의사소통 능력 77점[26]으로 직종별 큰 차이는 없었다. 근래 강의실이나 교실 등의 교육환경에서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29]. 이에 보건교사들의 의사소통 능력 증진을 위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보건교사의 교사 효능감은 평균 82.36±9.01점으로 100점 환산값이 67점이었다. 이는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보건교사의 교사 효능감 점수와 동일하였고[32], 다른 측정도구로 보건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의 교사 효능감 점수 71점[33]보다 낮은 점수이었다. 선행연구에서 초등학교에서 중고등학교로 올라갈수록 보건교사의 교사 효능감은 감소하였다[34].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중고등학교로 올라갈수록 보건교사의 교사 효능감이 유의하게 높아졌다. 이에 반복 연구를 통하여 학교급에 따른 교사 효능감 차이를 파악하고 그 시기에 필요로 하는 보건교사 역량 개발 및 신념 증진을 통한 교사 효능감 증진 방안을 모색해야 하겠다. 보건교사는 학교보건실에서만 근무하는 과거와 달리 학생들을 대상으로 보건 수업을 수행하는 보건교육의 중요한 중추로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35]. 교사 효능감이 높은 보건교사는 보건수업을 위해서 보다 많은 노력을 투입하여 학생들이 건강에 관한 올바른 지식과 태도를 배양하고 바람직한 건강행위를 습득하도록 도와준다[34]. 교사 효능감은 교사의 질 높은 교육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학생에게서 긍정적 교육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34]. 따라서 보건교사들이 현재 가지고 있는 교사 효능감에 대한 실태 파악과 교사 효능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라도 보건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대한 연구는 더욱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 보건교사의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과 의사소통 능력 중 반응과 상관관계가 있었고(r=0.24, p =0.014),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과 교사 효능감 중 자기조절감과 상관관계가 있었다(r=0.21, p =0.033). 성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기에 의사소통과의 관련성이나 교사 효능감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언급하기는 힘들다. 앞으로 성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고 특히, 성교육을 주업무로 하고 있는 보건교사의 성 미디어 리터러시 정도와 의사소통 능력, 교사 효능감과의 관련성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야 하겠다. 의사소통 능력과 교사 효능감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었고(r=0.44, p <0.001),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감(r=0.56, p <0.001), 도전감(r=0.30, p =0.002)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초등교사 대상의 연구[16], 교사 대상의 연구[17], 예비유아교사 대상의 연구[27], 사립유치원교사 대상의 연구[28] 결과와 일치하였다. 교사의 의사소통 능력이 뛰어나다면 업무에 대한 주관적인 자신감인 교사 효능감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17]. 결론적으로 학교 보건교육의 핵심 주체인 보건교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교사 효능감을 높이는 다방면의 노력과 활동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보건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의사소통 능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0.34, p <0.001). 이는 자신의 느낌과 의미를 상대방과 교환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이 뛰어나다면, 이로 인해 업무에 대한 주관적인 자신감이라 할 수 있는 교사 효능감이 높아진다는 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17] 같은 결과이다. 영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의사소통 능력이 높을수록 교사 효능감이 높았다[30].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교사 효능감은 의사소통 능력과 정적상관이 있었고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이 의사소통 능력이었다[31]. 그러나 보건교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교사 효능감과의 관련성에 대한 선행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보건교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교사 효능감과의 관련성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고, 보건교사의 교사 효능감 증진을 위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중심으로 한 보건교사 교육 방법들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거의 연구되지 않은 보건교사의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의사소통 능력, 교사 효능감 정도와 관련성을 파악하고, 보건교사의 교사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보건교사의 교사 효능감 증진은 청소년들의 성교육 및 보건교육과 학교보건 업무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더 많은 지역의 더 많은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이 연구결과들을 통하여 미디어에 장기간 노출되고 있는 청소년들의 교육자로서 보건교사들이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을 높이고,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고 교사 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맞춤형 교육과 실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제시한다.

References

1. . Ryu HS, Im YJ, Cho JH. Health education needs and confidence of school nurses in Korean secondary schools.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13;27(2):280–292. (Korean). DOI: 10.5932/JKPHN.2013.27.2.280.
2. . Kim BK, Joung SE. Comparison of motivation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teacher efficacy, and satisfaction of teaching class by motivation of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group among pre-health education teachers. J Korean Soc Sch Comm Health Educ 2018;19(1):61–70. (Korean).
3. . Kim JH. Teacher efficacy and students'self-efficacy. J Korean Soc Gift Talent 2006;5(1):5–25. (Korean).
4. . Park SH. Predictor variables for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of practicing elementary teachers. J Learn Cent Curric Instr 2004;7:71–92. (Korean).
5. . Riggs IM, Enochs LG.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teacher. Sci Educ 1990;74(6):625–637. DOI: 10.1002/sce.3730740605.
6. . Kim AY. Teacher efficacy: The key factor of teacher professionalism. Korean J Educ Psychol 2012;26(1):63–84. (Korean).
7. . Park SJ, Lee JM.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commitment in health teachers. J Child Educ 2021;30(4):123–139. (Korean). DOI: 10.17643/kjce.2021.30.4.07.
8. . National Association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Media literacy de-fined Available at https://namle.net/resources/media-literacy-defined [accessed on November 1, 2023].
9. . Kwon HJ, Shin SJ. The effect of adolescent sexual media literacy and sexual permissiveness on gender sensitivity.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20;34(1):22–34. (Korean). DOI: 10.5932/JKPHN.2020.34.1.22.
10. . Lee KE. Analysis of teachers' recognition of and demands for training of school sex education standard. J Learn Cent Curric Instr 2016;16(4):51–71. (Korean).
11. . Ahn YH, Lim YM, Kim KY, Kim KK, Song HY. Impacts of sexual knowledge and sexual self-efficacy on sexual autonom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a rural area.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15;29(1):90–101. (Korean). DOI: 10.5932/JKPHN.2015.29.1.90.
12. . Kim KM, Kim SY, Kim SY, Kim JE, Kim HY, Kim HW, et al. A study o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sexual impulsivity of college students using social dating service applications. J Ewha Acad Nurs 2018;52(1):127–142. (Korean).
13. .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F to spread gender equality culture, 10 tasks to spread gender equality culture to eradicate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Available at https://blog.naver.com/mogefkorea/221212239021 [accessed on November 1, 2023].
14. . Baek SS, Jun EK, Kwon IS, Lee KH, Lee JE. The effects of media literacy-focused sex education program on teachers. J Korean Soc Sch Health 2015;28(3):229–238. (Korean). DOI: 10.15434/KSSH.2015.28.3.229.
15. . Yi JS, Jung HS.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ex education between health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in middle schools: Based on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J Korean Soc Sch Health 2015;28(1):10–21. (Korean). DOI: 10.15434/KSSH.2015.28.1.10.
16. . Ryu DY, Choi SW.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stage of primary teachers' communication skill and teacher efficacy. J Lifelong Educ HRD 2013;9(2):63–89. (Korean).
17. . Park EA, Kim 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ommunication skills and burnout. J Korean Soc Well 2016;11(3):277–285. (Korean). DOI: 10.21097/ksw.2016.08.11.3.277.
18. . Woo SK, Seo YH. The relationship among optimism, e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s in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J Korea Open Assoc Early Child Educ 2016;21(1):367–384. (Korean).
19. . Baek SS. The effects of a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media literacy (SEPML) for school health teach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The Catholic University. Korea: 2017.
20. . Fritz S, Brown FW, Lunde JP, Banset EA. Interpersonal skill for reader-ship Upper Saddle River: Prentice Hall; 1999.
21. . Choi IL, Jo WJ. Theory and pract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Seoul: Changjisa; 2010.
22. . Kim AY, Kim MJ. Validation of a teacher efficacy scale. J Educ Psychol Res 2004;18(1):37–58. (Korean).
23. . Jang YJ. The effects of teachers' emotional quotient and ego-resilience on the teachers' efficacy [dissertation] Suwon University; Korea. 2014.
24. . Shin YS, Shin KY, Kang GS. Child care teachers' communication skills and interpersonal skills: Effect on job satisfaction. J Early Child Educ Educare Welf 2021;25(3):85–110. (Korean). DOI: 10.22590/ecee.2021.25.3.85.
25. . Chang HS.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J Korea Open Assoc Early Child Educ 2017;22(1):303–324. (Korean). DOI: 10.20437/KOAECE22-1-12.
26. . Lee YA, Pu SS. Relation of day-car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family-teacher communication. J Korea Contents Assoc 2014;14(6):466–476. (Korean). DOI: 10.5392/JKCA.2014.14.06.466.
27. . Min HY. A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skill, self-identity, and self-efficacy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J Learn Cent Curric Instr 2016;16(7):359–379. (Korean).
28. . Choi EH. The effect of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job stress. J Korean Child Care Educ 2015;11(2):39–57. (Korean). DOI: 10.14698/JKCCE.2015.11.2.039.
29. . Kim JK. An examination of relations among communication style, communication motives, attention, satisfaction, and instructional effects. J Speech Media Comm Res 2012;18:202–234. (Korean).
30. . Kim JH, Cho SY.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acher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urnover intention. J Learn Cent Curric Instr 2019;9(8):11–23. (Korean).
31. . Ha JH, Kim YJ. The relationship among teaching efficacy, self-esteem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of child care teachers. J Early Child Educ Educare Welf 2017;21(4):27–49. (Korean). DOI: 10.22590/ecee.2017.21.4.27.
32. . Ha YS, Park YK, Kim EH, Kim KJ. The effects of digital empower-ment teacher training program applying virtual reality on digital media literacy, teacher effica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school nurse. J Health Info Stat 2022;47(2):118–125. (Korean). DOI: 10.21032/jhis.2022.47.2.118.
33. . Yoo MS, Seo EJ. Awareness of health education environment,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school nurses in Korea.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16;30(1):42–55. (Korean).
34. . Kim YS, Ha YM, Park HJ, Jung HS, Kwon EH. Factors related to teachers'self-efficacy in Korean health teachers. J Korean Soc Sch Health 2012;25(1):59–67. (Korean).
35. . Kim SW.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for health 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Teacher Educ Res 2012;50(3):152–159. (Korean). DOI: 10.15812/ter.50.3.201112.152.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Differences of awareness of sexual media literacy, communication competence,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102)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 Awareness of sexual media literacy Communication competence Teacher efficacy
Mean±SD t/F (p) Mean±SD t/F (p) Mean±SD t/F (p)
Gender Female 102 (100.0)
Age (y) 20-29 25 (24.5) 70.68±7.52 3.17 (0.028) 98.12±12.62 2.17 (0.097) 82.00±6.65 1.56 (0.204)
30-39 18 (17.6) 73.44±6.67 91.11±6.81 79.50±9.84
40-49 19 (18.6) 75.89±7.83 97.32±7.40 85.79±8.63
≥50 40 (39.2) 76.28±7.85 95.10±9.14 82.25±9.85
Educational level Associate degree 11 (10.8) 72.18±7.72 0.64 (0.531) 93.36±8.12 0.84 (0.435) 81.73±9.64 2.73 (0.070)
Bachelor's degreen 70 (68.6) 74.33±8.05 95.24±10.73 81.26±8.50
Master's degree or higher 21 (20.6) 75.48±7.15 97.71±5.83 86.38±9.65
Marital status Married 64 (62.7) 75.66±7.53 2.26 (0.026) 95.44±8.25 -0.15 (0.440) 82.56±9.92 0.29 (0.773)
Unmarried 38 (37.3) 72.11±7.88 95.74±11.80 82.03±7.35
Subjective health status Very healthy 25 (24.5) 74.84±8.27 0.54 (0.657) 98.64±10.00 1.97 (0.123) 86.70±8.00 3.26 (0.025)
Healthy 55 (53.9) 74.38±7.44 95.55±9.72 81.31±9.48
Usually 18 (17.6) 72.72±8.55 91.50±8.68 79.11±7.61
Unhealthy 4 (3.9) 77.75±7.93 94.50±6.35 84.00±5.23
School affiliation Elementary school 55 (53.9) 74.07±7.71 2.59 (0.057) 94.87±9.44 1.20 (0.314) 80.58±9.31 3.20 (0.027)
Middle school 15 (14.7) 72.20±7.53 95.27±9.82 82.73±7.31
High school 23 (22.5) 77.74±7.61 98.61±10.43 87.13±9.20
Etc. 9 (8.8) 70.78±7.36 92.33±8.34 80.44±4.80
Clinical experience (y) 0-5 73 (71.6) 74.95±7.95 0.80 (0.451) 96.56±10.21 1.46 (0.238) 82.56±8.14 0.77 (0.463)
6-10 15 (14.7) 73.07±7.80 93.47±8.51 83.80±14.40
≥11 14 (13.7) 72.50±7.15 92.50±7.09 79.79±5.56
School experience (y) 0-5 59 (57.8) 72.31±7.66 5.83 (0.004) 94.90±10.24 0.89 (0.413) 81.05±8.13 1.50 (0.229)
6-10 8 (7.8) 74.38±5.45 93.13±8.90 84.13±8.04
≥11 35 (34.3) 77.74±7.50 97.20±8.81 84.17±10.40
Experience in educating about sexual media literacy Yes 41 (40.2) 75.73±7.44 1.49 (0.139) 97.29±8.56 1.50 (0.136) 84.95±10.02 2.44 (0.017)
No 61 (59.8) 73.39±7.98 94.38±10.25 80.62±7.89
Teacher cooperation Highly cooperative 9 (8.8) 79.78±8.90 4.04 (0.009) 104.56±6.82 4.60 (0.005) 87.11±5.78 1.40 (0.248)
Cooperative 55 (53.9) 72.13±6.95 93.22±8.39 81.71±8.83
Usually 34 (33.3) 76.38±7.75 96.29±10.47 82.76±9.85
Uncooperative 4 (3.9) 75.00±9.42 101.00±12.78 77.25±8.06
Parental cooperation Highly cooperative a 7 (6.9) 79.86±9.32 4.93 (0.003) 105.29±6.87 2.87 (0.040) 88.29±6.10 1.52 (0.215)
Cooperative b 47 (46.1) 72.38±7.07 (a, b, c<d) 95.17±9.26 (a>b, c, d) 82.96±9.29
Usually c 44 (43.1) 74.61±7.67 94.77±9.70 80.98±8.99
Uncooperative d 4 (3.9) 84.50±1.73 91.50±11.68 80.25±7.50
Administrative cooperation Highly cooperative 3 (2.9) 74.33±12.66 1.95 (0.126) 109.00±9.54 2.25 (0.087) 86.33±7.02 0.72 (0.542)
Cooperative 36 (35.3) 72.14±7.00 95.97±10.28 83.75±8.24
Usually 38 (37.3) 76.47±7.60 94.34±7.39 81.37±8.42
Uncooperative 25 (24.5) 74.24±8.29 95.16±11.07 81.40±11.05
Job satisfaction Highly satisfied 12 (11.8) 71.75±7.21 1.09 (0.356) 96.58±6.95 0.30 (0.824) 85.92±7.74 0.90 (0.444)
Satisfied 61 (59.8) 74.85±8.07 95.05±9.37 82.39±8.91
Usually 23 (22.5) 73.35±7.60 95.52±10.16 80.83±9.73
Unsatisfied 6 (5.9) 78.00±6.57 98.67±16.03 80.83±9.81

SD, standard deviation.

a,b,c,d

Scheffe test.

Table 2

Degree of awareness of sexual media literacy, communication competence, teacher efficacy (n=102)

Variables Mean±SD Min Max
Awareness of sexual media literacy 74.33±7.82 58.00 88.00
Communication competence 95.55±9.67 75.00 124.00
  Concentration 19.74±2.29 13.00 25.00
  Comprehension and interpretation 19.35±2.22 15.00 25.00
  Analysis and evaluation 19.48±2.11 15.00 25.00
  Reaction 19.47±2.22 15.00 24.00
  Memory 17.51±2.57 11.00 25.00
Teacher efficacy 82.36±9.01 49.00 108.00
  Confidence 21.43±3.34 14.00 30.00
  Sense of self-regulation 41.95±4.61 26.00 53.00
  Sense of challenge 18.98±3.67 7.00 28.00

SD, standard deviation.

Table 3

Correlations among awareness of sexual media literacy, communication competence, teacher efficacy (n=102)

Variables 1 r (p) 2 r (p) 2-1 r (p) 2-2 r (p) 2-3 r (p) 2-4 r (p) 2-5 r (p) 3 r (p) 3-1 r (p) 3-2 r (p)
1. Awareness of sexual media literacy
2. Communication competence 0.19 (0.051)
2-1. Concentration 0.16 (0.098) 0.86 (<0.001)
2-2. Comprehension and interpretation 0.13 (0.177) 0.84 (<0.001) 0.71 (<0.001)
2-3. Analysis and evaluation 0.16 (0.103) 0.87 (<0.001) 0.65 (<0.001) 0.65 (<.001)
2-4. Reaction 0.24 (0.014) 0.89 (<0.001) 0.75 (<0.001) 0.72 (<0.001) 0.72 (<0.001)
2-5. Memory 0.12 (0.220) 0.79 (<0.001) 0.53 (<0.001) 0.52 (<0.001) 0.68 (<0.001) 0.58 (<0.001) )
3. Teacher efficacy 0.16 (0.188) 0.44 (<0.001) 0.26 (0.010) 0.36 (<0.001) 0.34 (<0.001) 0.52 (<0.001) )0.38 (<0.001)
3-1. Confidence 0.07 (0.517) 0.07 (0.464) 0.03 (0.800) 0.09 (0.398) 0.04 (0.697) 0.16 (0.102) 0.01 (0.940) 0.66 (<0.001)
3-2. Sense of self-regulation 0.21 (0.033) 0.56 (<0.001) 0.40 (<0.001) 0.45 (<0.001) 0.45 (<0.001) 0.64 (<0.001) )0.43 (<0.001) 0.83 (<0.001) 0.27 (0.007)
3-3. Sense of challenge 0.06 (0.571) 0.30 (0.002) 0.10 (0.338) 0.25 (0.011) 0.23 (0.018) 0.31 (0.002) 0.38 (<0.001) 0.82 (<0.001) 0.38 (<0.001) 0.52 (<0.001)

Table 4

Factors influencing on teacher efficacy (n=102)

Variables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s t p
B SE β
(Constant) 50.62 11.53 - 4.39 <0.001
Communication competence 0.34 0.09 0.37 3.99 <0.001
School affiliation 1.32 0.75 0.15 1.76 0.082
Experience in educating about sexual media literacy -3.01 1.63 -0.16 -1.84 0.069
Subjective health status -1.51 1.06 -0.13 -1.43 0.156
Awareness of sexual media literacy 0.06 0.10 0.05 0.57 0.569
R2 =0.26, Adjusted R2 =0.225, F (p)=6.88 (<0.001)

SE, standard e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