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lusters of perfectionism with cluster analysis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academic burnou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mong clusters of medical students.
Methods:The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221 students comprising 55 premedical course students, 166 medical cours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8 to September 9, 2015 by self-administered survey questionnaire. All scales used in this study as followed: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HFMPS), Maslach Burnout Inventory-Student Survey (MBI-SS), 2 × 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MANOVA using SPSS version 22.0.
Results:Four groups were identified: non-perfectionism,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other-oriented perfectionism, typical perfectionism. The group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is higher than the group of non-perfectionism and typical perfectionism in academic burnout. Also, the group of typical perfectionism which are high in self-oriented perfectionism showed high mastery-approach goal and performance-approach goal. The group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howed high scores in mastery-avoidance goal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Conclusions:This study found that the group of having high self-oriented perfectionism showed high mastery-approach goal and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whereas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howed high mastery-avoidance goal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students to set their own personal standards and strive for achievement in the way of what they want not of what others would probably want them.
서 론의학이 가지는 가치와 특성으로 인해 의과대학생은 전문적인 지식과 뛰어난 술기 능력을 요구받으며 이로 인해 완벽주의 성향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1]. 완벽주의는 무결점의 상태를 지향하며 스스로의 행동에 대해 과도하게 비판적이고 높은 기준을 설정하는 성격 특질을 말한다[2]. 완벽주의는 다차원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완벽주의 각각의 유형은 서로 다른 특징을 나타낸다. 이에 완벽주의의 다차원적 특성에 대한 연구와 함께 완벽주의의 하위유형을 분류, 분석하는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3-6]. 다차원적 완벽주의 모델 중 가장 많이 다루어지는 영향력 있는 모델은 Hewitt and Flett [7]의 완벽주의 모델로, 자기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의 세 유형으로 구분된다.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완벽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스스로 완벽해지고자 하는 내적 신념을 뜻한다. 자기지향 완벽주의자들은 스스로에게 과도하게 높은 기준을 설정하고 완벽해지고자 하며, 기준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매우 자기비판적인 태도를 보인다. 대조적으로, 타인지향 완벽주의는 타인에게 완벽을 기대하며 이러한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매우 비판적이다.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타인이 자신에게 완벽을 기대하며 만약 이러한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매우 비판적인 태도를 보일 것이라는 믿음이다.
완벽주의 하위요인 각각의 특성을 살펴보면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양가적인 특성을 가진다. 우울, 불안 등과 같은 심리적 증상들과 정적 상관을 보이는가 하면[8], 다른 한편으로는 긍정 정서 및 학업에 대한 내적 동기 등과 같은 심리적 적응을 나타내는 지표들과 정적 상관을 보이기도 한다[9,10]. 반면에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불안, 우울 등과 같은 심리적 부적응 지표들과 일관되게 정적 상관을 보여왔다[8,9]. 또한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학업에 대한 내적동기와 부적 상관을 보여주었다[10]. 마지막으로 타인지향 완벽주의는 자기애적 성격 장애를 나타내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완벽주의 형태로 보고되기도 하였다[11].
완벽주의의 특성에 따른 하위요인의 구분은 연구에 따라 각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6,12,13]. 이에 본 연구에서는 Hewitt and Flett [7]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모델의 하위요인 구분을 바탕으로 의과대학생들의 완벽주의 유형별 집단을 분류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완벽주의와 관련된 학업상황에서의 심리적 변인으로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학업소진과 성취목표지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학업소진은 과도한 학업요구로 인한 정서적 고갈, 학업에 대한 냉소적 태도, 학생으로서의 무능감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많은 학생들이 학업소진을 경험하고 있다[14,15]. 특히, 의과대학생은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의학이라는 학문이 주는 심리내적 부담감으로 인해 더욱 학업소진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 선행연구[16,17]에 따르면 완벽주의 성향이 학업소진을 유발하는 요인이 됨을 알 수 있다. Miquelon et al. [8]의 연구에 따르면 완벽주의는 유형에 따라 학업소진에 각기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학업소진과 같은 심리적 고통을 유발하는 반면 개인지향 완벽주의는 심리적 고통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다음으로 완벽주의와 성취목표지향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성취목표지향성은 성취상황에 학생들의 학업 참여와 학습 활동을 예견하기 위한 핵심변인으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18]. 성취목표지향성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목표지향성의 개념이 2요인(숙달목표, 수행목표), 3요인(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으로 점차 확장되어 오다가 최근에는 2×2 요인(숙달접근목표, 숙달회피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으로 구분하여 제시되고 있다[19-21]. 숙달접근목표를 가진 학생들은 학업 상황에서 주어지는 과제를 익히고 숙달하는 과정을 통해 유능성을 발달시키는 것에 초점을 둔다. 한편, 숙달회피목표지향성을 보이는 학생들은 학업 과제 수행에서 유능성을 잃지 않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수행접근지향성의 학생들은 타인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유능성을 나타내는 데에 초점을 둔다. 반면에, 수행회피목표지향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학생들은 타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능함을 드러내지 않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에 비해 뒤쳐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노력한다. 완벽주의와 성취목표지향성의 관계를 분석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숙달접근목표, 수행접근목표와 정적상관을 보이며[22,23], 또한 수행회피목표와 정적상관을 보인다는 연구도 있다[23-26]. 대조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와는 정적상관을 보이며, 숙달접근목표와는 부적상관 혹은 유의하지 않는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23,25,26].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자기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에 따라 의과대학생의 완벽주의 군집을 분류하고, 구분된 군집에 따른 학업소진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과대학생의 완벽주의, 학업소진, 성취목표지향성은 어떠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가? 둘째, 완벽주의의 하위요인에 따라 군집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셋째, 군집에 따라 학업소진과 성취목표지향성은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본 연구를 통해 의과대학생들의 완벽주의 군집의 특성을 이해하고, 완벽주의의 하위 특성에 따라 학업소진, 성취목표지향성과 같은 학습자의 정서 및 동기적 측면에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방법연구 대상본 연구는 경기 지역에 소재한 A 의과대학에 소속된 의예과 1, 2학년과 의학과 1-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2015년 8월 28일에서 9월 9일 사이에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총 229명이 응답하였고 그 중 응답하지 않은 문항이 있거나 무작위로 응답한 것으로 판단되는 8부를 제외한 총 221부의 자료를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의 학년, 성별 분포는 Table 1에 제시하였다.
연구 도구완벽주의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를 측정하기 위하여 Hewitt and Flett [7]이 개발하고 Lee [27]가 번안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HFMPS)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자기지향완벽주의, 사회부과완벽주의, 타인지향완벽주의의 3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요인별 15문항으로 총 45문항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총 점수가 높을수록 완벽주의 성향 정도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완벽주의 척도의 내적합치도는 0.847이며, 각 하위요인별 척도의 내적합치도는 자기지향완벽주의 0.869, 사회부과완벽주의 0.788, 타인지향완벽주의 0.724이다.
학업소진학업소진을 측정하기 위하여 Schaufeli et al. [14]이 개발하고 Lee and Lee [28]가 타당화한 학업소진척도(maslach burnout inventory-student survey, MBI-SS)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총 14문항이며, 정서적 고갈 5문항, 무능력감 5문항, 냉소성 4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총 점수가 높을수록 학업소진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학업소진 척도의 내적합치도는 0.875이며, 하위요인별로는 정서적 고갈 0.890, 무능력감 0.763, 냉소성 0.786이다.
성취목표지향성성취목표지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Park and Lee [21]가 개발 및 타당화 한 성취목표지향성 척도(2×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cale)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총 26문항이며, 숙달접근 9문항, 숙달회피 5문항, 수행접근 7문항, 수행회피 5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까지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각 하위척도의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목표지향성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의 성취목표지향성 척도의 내적합치도는 0.775이며, 각 하위요인별로는 숙달접근 0.868 숙달회피 0.729 수행접근 0.874 수행회피 0.803으로 나타났다.
자료분석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2015년 8월 28일부터 9월 9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설문 작성에는 15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먼저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성별, 학년 등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하위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완벽주의의 하위요인에 따라 어떠한 군집들이 형성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Hair and Black [29]이 제안한 2단계 군집분석(2-stage cluste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완벽주의 하위요인에 의해 형성된 군집들 간 학업소진과 성취목표지향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변량분산분석(MANOVA) 및 사후검증(post-hoc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기술통계 및 상관분석본 연구의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2에 제시되었다. 먼저 완벽주의의 3가지 하위요인 중 사회부과 완벽주의만이 학업소진과 유의한 상관(r= 0.43, p < 0.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숙달접근지향성(r= 0.40, p < 0.01), 수행접근지향성(r= 0.34, p < 0.01)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내며 숙달회피지향성과는 유의한 부적상관(r= -0.26, p < 0.01)을 나타내었다.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숙달접근지향성과는 부적상관(r= -0.13, p < 0.05)을, 숙달회피(r= 0.28, p < 0.01), 수행접근(r= 0.25, p < 0.01), 수행회피지향성(r= 0.35, p < 0.01)과는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타인지향완벽주의는 숙달접근(r= 0.22, p < 0.01), 수행접근지향성(r= 0.35, p < 0.01)과는 정적상관을, 숙달회피지향성과는 부적상관(r= -0.22, p < 0.01)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학업소진은 숙달접근(r = -0.45, p < 0.01) 수행접근지향성(r = -0.16, p < 0.05)과는 부적상관을, 숙달회피(r= 0.47, p < 0.01), 수행회피지향성(r= 0.36, p < 0.01)과는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완벽주의 하위요인에 따른 군집분석완벽주의의 3가지 하위요인(자기지향, 사회부과, 타인지향)에 따라 어떠한 군집이 형성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Hair and Black [29]이 제안한 2단계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Ward의 방법을 사용하여 계층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나타난 군집화 일정표와 덴드로그램을 살펴본 결과, 4개의 군집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2단계 비계층적 군집분석인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Table 3과 같이 최종 군집별 중심점이 나타났으며, 군집 1은 57명(25.79%), 군집 2는 85명(38.46%), 군집 3은 26명(11.76%), 군집 4는 53명(23.98%)으로 나타났다.
군집별로 표준화 한 점수를 이용한 완벽주의 하위요인 프로파일은 Figure 1과 같다. 군집 1은 다른 집단에 비해 완벽주의 수준이 전체적으로 낮으므로 ‘비완벽주의’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군집 2는 타인들에게서 높은 수준의 기대를 받고 있다고 지각하고 있기에 ‘사회부과 완벽주의’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군집 3은 타인을 향한 완벽주의가 높게 나타났기에 ‘타인지향 완벽주의’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군집 4는 자신에게는 물론 타인에게도 완벽주의적인 행동 및 결과를 요구하고자 하는 성향을 나타내기에 ‘전형적 완벽주의’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군집별 학업소진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차이본 연구에서 도출된 4개의 군집 간에 학업소진과 성취목표지향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한 결과를 Table 4에 제시하였다. Box의 동질성 검정 결과 군집의 동질성 가정이 충족되었으며[F(45, 34813.71) =1.26, p > 0.05], 각 군집이 학업소진과 성취목표지향성 전체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Wilks’ λ= 0.73, F(15, 572) = 4.53, p < 0.001, 부분 η2 = 0.10]. 구체적으로, 각 군집은 학업소진과 성취목표지향성의 4가지 유형 각각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F(3, 210) =5.95, p < 0.01; F(3, 210) = 6.84, p < 0.001; F(3, 210) = 9.85, p < 0.001; F(3, 210) = 6.78, p < 0.001; F(3, 210) = 4.77, p < 0.01].
다음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어떠한 군집 간에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검증(Scheffé)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 1 ‘비완벽주의’는 학업소진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숙달접근지향성과 수행접근지향성, 수행회피지향성은 낮게 나타났으며, 숙달회피지향성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완벽주의 성향을 갖고 있지 않은 학생들은 학업상황에서 소진과 같은 정서적 경험을 거의 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군집 2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학업소진이 높게 나타났으며, 숙달접근지향성은 군집들 중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숙달회피지향성과 수행회피지향성은 군집들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행접근지향성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타인으로부터 완벽을 기대 받고 이를 충족하려고 애쓰는 학생일수록 학업소진을 많이 경험하며, 자기 스스로 학업상황에서 주어지는 과제를 숙달하고 이를 통해 유능성을 경험하고자 하기 보다는 타인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유능성을 드러내거나 혹은 무능함을 드러내지 않는 것에 초점을 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군집 3 ‘타인지향 완벽주의’는 높은 학업소진을 보이며, 숙달접근지향성과 수행접근지향성에서는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냈으나 숙달회피지향성과 수행회피지향성에서는 보통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타인에 대해 완벽을 기대하고 이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는 타인지향완벽주의적인 성향이 강한 학생일수록 냉소성 등을 포함하는 학업소진 정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군집 4 ‘전형적 완벽주의’는 학업소진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군집 내에서 숙달접근지향성과 수행접근지향성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숙달회피지향성과 수행회피지향성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자기 스스로 완벽을 추구하는 성향이 강한 학생일수록 학업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유능성을 잃지 않거나 타인에 비해 상대적 무능함을 드러내는 것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주어진 과제를 스스로 익히고 숙달하여 유능성을 나타내거나 타인에 비해 상대적인 유능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성향이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고 찰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 학업소진, 목표지향성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완벽주의 유형에 따른 군집별 프로파일을 중심으로 각 집단 간의 학업소진, 성취목표지향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상관분석 결과에 의하면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 중 숙달접근지향성과 가장 높은 정적 상관(r= 0.40 p < 0.01)을 보이며, 숙달접근, 수행접근지향성과는 정적 상관을, 숙달회피지향성과 수행회피지향성과는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목표지향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선행연구[26,30]에서 자기지향완벽주의가 숙달접근, 수행접근목표와 정적 상관을 보이는 반면, 수행회피목표와는 부적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27,31]와 일치한다.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와는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숙달접근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접근지향성보다는 회피지향성과 더 높은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수행접근, 수행회피지향성과는 정적 상관을, 숙달접근지향성과는 부적상관을 나타낸 선행연구[26]와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즉,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이 강할수록 과제 수행 과정에서 숙달을 통해 스스로 유능성을 발달시키려고 하기 보다는 타인과의 비교에서 상대적으로 유능성을 나타낼 수 있는 과제에는 수행 노력을 보이지만 타인의 인정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과제 수행에서는 회피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타인지향 완벽주의는 숙달접근, 수행접근과는 정적 상관을, 숙달회피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완벽주의의 각 하위요인과 목표지향성의 4가지 요인간의 상관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숙달접근(r= 0.40, p < 0.01)지향성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이는 완벽주의 유형은 자기지향 완벽주의이며, 숙달회피(r= 0.28, p < 0.01), 수행회피(r= 0.35, p < 0.01) 지향성과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행접근지향성(r= 0.35, p < 0.01)과는 타인지향 완벽주의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완벽주의 유형에 따른 군집별 프로파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를 중심으로 완벽주의의 하위 유형을 구분한 결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먼저 군집 1 (비완벽주의)은 모든 하위요인에서 완벽주의의 수준이 낮게 나타나 스스로에게나 타인에게 완벽주의적인 수행을 기대하지 않으며 타인으로부터 받는 완벽에 대한 기대 수준도 낮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군집 2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타인으로부터 높은 수준의 기대를 받고 있으며 스스로도 어느 정도 자신이 설정한 기준에 도달하고자 노력하나 타인에게 높은 기준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군집 3 (타인지향 완벽주의)은 스스로에게 높은 기대를 가지지도 않고, 타인이 자신에게 요구하는 기대 수준도 높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타인에 대해서는 높은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기대하는 특징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군집 4 (전형적 완벽주의)는 타인으로부터 주어지는 기대의 수준이 높다고 인식하지는 않으나 자신과 타인에게 높은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의 군집에 따른 학생들의 분포는 군집 2에 속한 학생들이 85명으로 전체의 38.4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대상에 포함된 상당수의 의과대학 학생들이 타인이 설정한 기준과 평가에 민감한 사회부과 완벽주의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업소진과 성취목표지향성이 완벽주의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군집에 따른 학업소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군집 2에 속한 학생들이 군집 1, 4에 속한 학생들에 비해 학업소진을 더 크게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완벽주의 특성을 보이는 학생들이 자신이나 타인에게 높은 기대를 설정하거나 타인으로부터 높은 수준의 성취를 요구받는 학생들에 비해 학업소진을 덜 경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스스로에게 높은 수준의 기대를 설정하는 학생들이 타인에게 높은 기대를 설정하거나 혹은 타인이 자신에게 높은 기준을 갖고 있다고 지각하는 학생들에 비해 더 낮은 수준의 학업소진을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스스로 설정한 기준에 따라 높은 수준의 성취를 이루고자 하는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이 강한 사람은 자신이 정한 기준에 도달하고자 하는 과정을 스스로 통제하고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경험하는 어려움을 스트레스로 지각하지 않는다는 견해[27]와 비슷한 맥락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군집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숙달접근지향성은 군집 4에서 가장 높으며, 군집 1, 2, 3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접근지향성 또한 군집 4가 군집 1, 3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개인 내적 성취동기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성취동기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숙달접근지향성 및 수행접근지향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타인이 자신에게 갖고 있는 기대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성향이 강한 사람들일수록 타인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유능성을 드러내고자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에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높게 나타난 군집 2에 속한 학생들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에서 동기화되는 숙달회피 지향성과 수행회피 지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군집 2에 속한 학생들이 숙달회피 지향, 수행회피 지향적인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 선행연구[7]의 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완벽주의 군집에 따른 유형 및 분포를 살펴보고, 완벽주의 군집에 따라 학업정서 및 동기의 측면을 나타내는 학업소진과 성취목표지향성의 특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연구대상의 40%에 가까운 학생들이 강한 사회부과 완벽주의 특성을 가지는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들은 높은 학업소진을 경험하고 과제의 숙달을 통해 유능감을 경험하려 하기 보다는 타인의 인정과 기대에 맞추어 행동하는 타인지향적인 행동 성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는 의과대학생들이 높은 기대와 완벽함을 사회적으로 요구받고 있으며, 이것이 학업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사회적인 기대와 기준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나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인 학습자로 스스로 목표와 기준을 설정하고 유능감을 키워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경기 지역에 소재한 일개 의과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의과대학생 전체에게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표집 대상에 따라 연구 결과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보다 다양한 지역 및 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표집에 따른 결과 도출의 한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을 통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조사 도구 사용에 한계를 지닌다. 구조화된 설문은 조사 내용이 설문 문항에 포함된 사항에 관해 한정된다는 점에서 연구대상자가 실제로 느끼고 경험하는 사항에 대한 심도 있는 조사를 실시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연구대상자와의 심층면담 등을 통해 설문조사가 가지는 한계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완벽주의와 관련된 보다 다양한 변인들을 연구에 포함시키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추출한 다양한 변인들을 분석에 사용하여 완벽주의적인 사고 및 행동이 의과대학생의 인지, 정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결 론본 연구는 의과대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형성된 군집들 간에 학업소진과 성취목표지향성에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군집은 비완벽주의 집단, 사회부과 완벽주의 집단, 타인지향 완벽주의 집단, 전형적 완벽주의 집단의 네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학업소진과 성취목표지향성의 군집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업소진은 사회부과 완벽주의 집단이 비완벽주의나 전형적 완벽주의 집단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 중, 숙달접근 목표와 수행접근 목표는 전형적 완벽주의 집단에서 높게 나타나 완벽주의의 하위요인 중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접근 목표지향성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숙달회피 목표와 수행회피 목표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타인의 기준과 기대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이 학업정서 및 성취동기의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과대학생의 경우 현실적으로 부모, 형제, 친구 등을 포함한 중요한 사회적 타인으로부터 많은 기대를 받지만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여 완벽을 추구하려고 노력하기 보다는 스스로 기대와 기준을 설정하는 자기주도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돕는 교육 및 상담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Table 1.
Table 2.
Table 3.Table 4.
REFERENCES1. Enns MW, Cox B, Sareen J, Freeman P. Adaptive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in medical student: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Med Educ 2001;35(11):1034-1042.
2. Flett GL, Hewitt PL. Perfectionism,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2. p. 5-31.
3. Grzegorek JL, Slaney RB, Franze S, Rice KG. Self-criticism, dependency, self-esteem, and grade point average satisfaction among clusters of perfectionists and nonperfectionists. J Counsel Psychol 2004;51(2):192-200.
4. Dickinson WL, Ashby J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ego defenses. J College Stud Psychother 2005;19(3):41-54.
5. Lee A, Lee J. Cluster types based on the perfectionism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Counsel 2015;16(3):215-231. (Korean).
6. Jeong S, Lee D. Differences in passive/active procrastination, happiness, and depression by clusters of perfectionism in college students. Korean J Counsel 2013;14(2):857-875. (Korean).
7. Hewitt PL, Flett GL.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 Pers Soc Psychol 1991;60(3):456-470.
8. Miquelon P, Vallerand RJ, Grouzet FME, Gardinal G. Perfectionism, academic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n Integrative model. Pers Soc Psychol Bull 2005;31(7):913-924.
9. Frost RO, Heimberg RG, Holt CS, Mattia JI, Neubauer AI. A comparison of two measures of perfectionism. Pers Indiv Differ 1993;14(1):119-126.
10. Stoeber J, Feast AR, Hayward JA. Self-oriented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differential relationships wi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and test anxiety. Pers Indiv Differ 2009;47(5):423-428.
11. Ayearst LE, Flett GL, Hewitt PL. Where i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in DSM-5? A question posed to the DSM-5 personality and personality disorder work group. Pers Disor: Theor, Res Treat 2012;3(4):458-469.
12. Noble CL, Ashby JS, Gnika PB.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coping, and depression: differential prediction of depression symptoms by perfectionism type. J College Counsel 2014;17(1):80-94.
13. Rice KG, Kubal AE, Preusser KJ. Perfectionism and children’s self-sconcept: further validation of the adaptive/maladaptive perfectionism scale. Psychol Schools 2004;41(3):279-290.
14. Schaufeli WB, Martinez IM, Marques-Pinto A, Salanova M, Bakker AB.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 cross-national study. J Cross-Cultl Stud 2002;33(5):464-481.
15. Jacobs S, Dodd D. Student burnout as a function of personality, social support, and workload. J College Stud Develop 2003;44(3):291-303.
16. Jo H, Lee H. The mediating effects of achievement goals on the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m,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Korean J Youth Stud 2010;17(12):131-154. (Korean).
17. Yiwen Z, Yiqun G, Heining C. Perfectionism, academic burnout and engagement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Pers Indiv Differ 2007;43(6):1529-1540.
18. Damian LE, Stoeber J, Negru O, Baban A.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in adolescent school student. Psychol Schools 2014;51(9):960-971.
19. Pintrich PR. The role of goal orientation in self-regulated learning. In: Boekarts M, Pintrich PR, Zeidner M,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000. p. 451-502.
20. Elliot AJ, Mcgregor HA. A 2×2 achievement goal framework. J Pers Soc Psychol 2001;80(3):501-519.
21. Bak B, Lee 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2×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cale. J Educ Psychol 2005;19(1):327-352. (Korean).
22. Stoeber J, Stoll O, Pescheck E, Otto K.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goals in athletes: relations with approach and avoidance orientations in mastery and performance goals. Psychol Sport Exerc 2008;9(2):102-121.
23. Van Yperen NW. A novel approach to assessing achievement goals in the context of the 2×2 framework: identifying distinct profiles of individuals with different dominant achievement goals. Pers Soc Psychol Bull 2006;32(11):1432-1445.
24. Kaye MP, Conroy DE, Fifer AM. Individual differences in incompetence avoidance. J Sport Exerc Psychol 2008;30(1):110-132.
25. Stoeber J, Stoll O, Salmi O, Tiikkaja J.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goals in young Finnish ice-hockey players aspiring to make the under-16 national team. J Sports Sci 2009;27(1):85-94.
26. Verner-Filion J, Gaudreau P. From perfectionism to academic adjustment: the mediating role of achievement goals. Per Indiv Differ 2010;49(3):181-186.
27. Lee M, Ryhu J. The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 of perfectionism: in relations with achievement goal,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Korean J Youth Stud 2002;9(3):293-316. (Korean).
28. Lee S, Lee D. Validation of the MBI-SS scales-based on medical school students. Asian J Educ 2013;14(2):165-187. (Korean).
29. Hair JF, Black WC. Cluster analysis. In: Grimm LG, Yarnold PR, eds.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0. p. 147-205.
30. Kye S, Park K, Eom S.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academic procrastination in college students. Cognitive Behav Ther Korea 2011;11(2):95-111. (Kore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