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J Health Info Stat > Volume 44(4); 2019 > Article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in 3rd and 4th grade of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experiences. Data were gathered from December 3, 2018 to December 7, 2018.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el regression using SPSS 22.0 program.

Results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f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were religion β = 0.14 (p= 0.008), major satisfaction β= 0.12 (p = 0.035), organizational commitment β = 0.38 (p < 0.001)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β = 0.29 (p < 0.001). These factors explained 43% of the variance (R2= 0.43, p < 0.001).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influencing factors 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strategies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nursing college students.

서  론

간호학 교육과정에서 임상실습은 간호대학생이 간호현장에서 역할모델을 관찰하고 임상실무활동을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하면서 실무능력을 함양하는 과정으로 전문적인 간호사가 되기 위해서는 많은 다양한 임상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어야 한다[1-3]. 이러한 임상실습의 경험들을 토대로 졸업 후 간호사로서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간호대학 교육과정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간호대학생들은 이론적 수업뿐만 아니라 임상실습을 통해 의료 환경을 경험하게 되는데, 특히 임상실습에 대해 위축감을 가지고 있으며[4], 환자에게 위해를 가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5]. 또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현장은 대학생 수의 증가와 아울러 환자의 권리와 개인정보에 대한 법적인 기준이 엄격해지면서 임상 실습의 어려움이 있고, 간호사는 업무과중으로 학생들의 실습 교육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는 상황에 있다[6].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이 임상 실습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간호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역량 개발이 시급하다[7].
자기효능감은 인간의 감정, 동기, 생각, 행동에 영향을 주는 지각으로 기대하는 정도에 따라 어떤 결과를 얻고자 하는 행동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다고 믿는 신념이며 이러한 자기효능감은 행위의 지속과 사고유형 및 정서반응 등의 심리, 사회적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필요한 행위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하였다[8]. 자기효능감과 태도 간의 관계를 연구한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자기효능감은 임상실습에 대한 태도, 행위 및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보고되고 있다[9,10].
조직몰입이란 개인의 태도와 행동의지의 결합으로서 개인이 가지는 특정대상에 대한 가치관의 일치를 통하여 심리적인 애착이나 소속욕구를 유발시켜 특정한 대상에 대한 정체성을 소유하거나 공헌하는 것을 말한다[11]. 단순한 조직에서의 충성심이 아니라 조직의 성공과 번영을 돕기 위하여 개인이 가진 것을 기꺼이 주고자 하는 조직과의 관계를 포함하는 것이다[12]. 대학에 대하여 조직몰입을 하는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대학에 대하여 동일시하고 애착이 있어서 긍정적인 대학의 모습이 남아 있을 것이다[13]. 보건계열학과 학생의 경우 학과 만족도뿐만 아니라 조직동일시 등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었으며[14] 이는 임상실습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며, 조직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이고 도덕적으로도 대학에 대한 생각이 확고한 학생이 조직몰입을 하고 있는 학생이며 이들은 장기적으로 대학에서 필요한 학생들일 것이다.
조직시민행동이란 개인이 하는 재량적 행위로서 공식적인 보상 제도에 의해 명시적 혹은 직접적으로 인정되지는 않지만 결과적으로는 그 조직 기능의 효율성과 능률성을 높이는 행동이다[15].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동료 학생들에 대한 배려나 대학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6]. 또한 학생 개인의 조직 시민행동 수준은 학교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13].
최근까지의 연구를 볼 때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임상실습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다수 있었으나, 대학조직에 대한 가치관이나 태도를 보는 조직몰입과 조직의 기능을 높일 수 있는 동료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가진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를 함께 조사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임상실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방법

연구설계

본 연구는 임상실습에 참여하고 있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

본 연구는 D시의 A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이며 임상실습에 참여한 3, 4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표본의 크기는 G-power program 3.1을 사용하여 중간효과크기(f) = 0.15, 유의수준(α)= 0.05, 검정력(1-β) = 90, 예측변수 13개로 산출한 결과 다중회귀분석에 필요한 표본수는 162명이었다. 탈락률 20%를 고려하여 210부를 배부하여 불성실한 응답없이 100% 모두 최종자료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도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 나이, 학년, 종교, 건강상태, 임상실습 시 주거형태, 학과 선택동기, 전공만족도, 학업성적, 실습동료들과의 관계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기효능감

본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은 Sherer et al. [17]에 의해 개발된 도구를 Hong [18]이 번안하여 사용한 도구로 자신의 행동능력에 대한 판단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자기효능감 17문항을 사용하였다.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저 17점에서 최고 85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Hong [18]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Cronbach’s α)는 0.86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0.96이었다.

조직몰입

조직몰입 측정도구는 Allen and Meyer [19]이 개발한 조직몰입도의 척도인 Organizational Commitment Scale을 Chio [13]가 대학생 대상으로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한 것으로, 총 18문항의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최저 18점에서 최고 90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조직몰입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항목으로는 정서적 몰입 6문항, 지속적 몰입 6문항, 규범적 몰입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Choi [13]의 연구에서 신뢰도는 0.75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0.92이었다.

조직시민행동

조직시민행동 측정도구는 MacKenzie et al. [20]이 개발한 19개 설문항목을 Park [21]이 번안 수정한 것을 대학생 대상으로 수정·보완하며 Choi [13]가 사용한 것으로, 총 19문항의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최저 19점에서 최고 95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조직시민행동의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Choi [13]의 연구에서 신뢰도는 0.71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0.74이었다.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 측정도구는 Cho et al. [22]이 개발한 임상실습 만족도 측정도구를 Lee et al. [23]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Likert 5점 척도로 실습교과에 대한 만족도 3문항, 실습내용 만족도 6문항, 실습지도에 대한 만족도 9문항, 실습 환경에 대한 만족도 7문항, 실습시간에 대한 만족도 3문항, 실습 평가에 대한 만족도 3문항 총 3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Lee et al. [23]의 연구에서 신뢰도는 0.86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0.97이었다.

자료수집

본 연구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12월 3-7일까지 D시의 A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이며 임상실습을 마친 3, 4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를 시행하기 전에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 개인의 정보에 대한 비밀보장, 자발적 연구 참여 및 거부에 대해 설명하여 자발적 동의를 구한 뒤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솔직한 응답을 얻기 위하여 참여 동의서를 따로 준비된 봉투에 넣도록 안내하였으며, 설문지 작성에 소요된 시간은 약 10분이었고, 완료된 후 설문지는 익명성을 보장하기 위해 봉투에 넣어 밀봉 스티커로 봉한 뒤 연구자가 직접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IBM Corp., Amonk, NY,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조직 시민행동, 임상실습만족도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만족도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 ANOVA, Scheffe’s test, 변수 간 상관관계는 Pearson’s 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임상실습만족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임상실습만족도의 차이

본 연구대상자는 총 210명으로 여학생 181명(86.2%), 남학생 29명(13.8%)이었고, 3학년이 101명(48.1%), 4학년 109명(51.9%)으로 나타났다. 종교가 있는 경우가 147명(70%)이었으며, ‘매우 건강하다’ 39명(18.6%), ‘건강하다’ 108명(51.4%), ‘보통이다’ 63명(30%)이었다. 가족과 거주하는 경우가 164명(78.1%)이었으며, 간호학을 선택하게 된 동기에 ‘취업’이 106명(50.5%)으로 가장 높았다. 전공 만족도는 ‘만족’ 108명(51.4%), ‘보통’ 80명(38.1%), ‘불만족’ 22명(10.5%)이었으며, 학점은 대부분이 3.0-3.9점(79.1%)이었다. 실습동료와의 관계는 ‘매우 좋음’ 44명(21.0%), ‘좋음’ 121명(57.6%), ‘보통’ 45명(21.4%)이었다(Table 1).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임상실습만족도 정도

본 연구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은 3.57±0.67점이었고, 조직몰입은 3.39±0.64점이었다. 조직시민행동은 3.82±0.54점이고, 임상실습만족도는 3.78±0.60점으로 나타났다(Table 2).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임상실습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연구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 관련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s 상관계수로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임상 실습 만족도는 자기효능감(r= 0.22, p< 0.01), 조직몰입(r= 0.60, p < 0.01), 조직시민행동(r= 0.57, p < 0.01)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대상자의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대상자의 일반적 요인과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변수를 입력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기효능감은 상관관계에서 유의하였으나 회귀분석에서는 유의하지 않아 제거 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중 명목척도인 종교, 전공 만족도는 가변수(dummy variables)로 처리하였다. 회귀분석을 시행하기 전 다중 공성선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는 조직몰입(β= 0.38, p < 0.001)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조직시민행동(β= 0.29, p < 0.001)이었다. 그리고 종교(β= 0.14, p = 0.008), 전공만족도(β= 0.12, p = 0.035) 순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몰입이 높고, 조직시민행동이 높으며, 일반적 특성 중 전공 만족도가 높고, 종교가 있을수록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43%이었다(Table 4).

고  찰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하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임상실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평균 3.56점(5점)으로 중간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자기효능감이 3.29점[25], 3.60점[7]으로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임상실습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을 가지게 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동기를 부여하므로[27]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조직몰입도는 평균 3.39점으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으며 간호대학생 연구[13]에서 3.72점으로 나타났고, 유사한 보건계열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결과[27] 방사선과 학생 3.30점과도 유사하였다. 조직몰입은 본인이 소속된 조직의 목표와 가치추구에 대한 긍정적 믿음에 기초하는데[13], 현 조직에 계속 남아있고 자기가 속한 조직에 애착심과 일체감을 가지게 되므로 이론과 임상실습을 통해 자아실현을 하는 예비간호사로서의 성장과 발전이 곧 학생 개개인이 졸업 이후 간호사가 되었을 때의 조직몰입 정도에 유의한 연관성을 가질 것이다[13]. 간호사가 되기 위한 필수교육과정인 임상실습을 통하여 간호학생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더욱 더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조직시민행동은 평균 3.82점으로 나타났으며, 간호대학생 대상 선행논문이 없어 직접 비교는 어려우나 간호사를 대상으로한 Kim et al. [28]의 연구에서 3.40점, Joo et al. [29]의 연구에서 3.59점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다. 조직시민행동이 다른 동료들을 돕고 주어진 역할 외의 조직의 관심 사항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면서 사려깊은 행동을 한다고 하였고[30], 자발적이며 대가를 바라지 않는 순수한 동기에서 행동하는 조직시민행동이 살아난다면[31] 임상실습이라는 환경에서 적응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임상실습만족도는 평균 3.78점으로 나타났다. Park et al. [32]의 연구에서 3.48점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하였으나, Park et al. [33]의 연구에서는 2.81점으로 차이가 있다. 연구마다 대상자의 표본수가 차이가 있어 단순 비교는 어려우나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보통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대상자는 여학생이 86.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전공 선택 동기는 ‘취업’이 50.5%로 가장 높았다. Ko et al. [34]의 연구에서도 간호대학생이 자신의 적성, 흥미, 전공에 대한 성찰보다는 경제적 안정성과 취업의 용이성에 중점을 두고 전공을 선택한 경우가 많아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다. 일반적 특성과 임상실습만족도를 비교해 보면 종교가 있고 전공 만족도가 높을수록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았다. 이는 Yang et al. [35], Kim [9]의 연구에서도 전공만족도에 따른 임상실습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만족도 간에 긴밀한 관계가 있어, 수업을 통해 배운 내용을 간호현장에서 직접 경험해 보려는 학습동기 부여가 되어 자신의 전공에 만족하고 있는 학생들이 임상실습만족도 역시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전공만족도가 높은 학생들에게는 교육과 격려를 유지하고, 만족도가 낮은 학생들에게는 지속적 관심과 교육을 통해 전공만족도를 상승시킬 계획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임상실습만족도는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에 있었다. 선행연구[36]에서도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바람직한 행동 변화로 실습의 만족도가 높았다.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에 애착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대학 내에서 규칙이나 약속을 준수하고,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며 대학의 행사에 자발적으로 참석하는 조직몰입을 지각한다는 선행연구[17]를 참고해 볼 때 간호대학생의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이 대학생활은 물론 임상실습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임상실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종교, 전공만족도로 나타났다. 임상현장에서는 교육인력의 부족, 환자 및 보호자의 소비자 의식의 증가 등으로 관찰위주로 실습이 진행되고 있으나[37] 이러한 실습과정을 통해 환자에 대한 이해증진과 성취 경험, 간호의 정체성 확인[9]의 유익한 경험을 하게 된다. 따라서 간호교육자 및 임상실습 기관에서 실습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특화된 교육시스템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실습경진대회 프로그램 개발 및 선후배 간의 멘토링 활동을 구성하여 학과에 대한 조직몰입을 통해 조직시민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결  론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임상실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임상실습만족도에는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종교, 전공만족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해서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임상실습에 따른 임상실습만족도의 영향요인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일부 지역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의 편의추출되었으므로 전체 간호대학생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을 것이며, 추후 연구에서는 확대된 연구 변수와 대상자로 실시되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이 필요하다.

CONFLICTS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Table 1.
The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210)
Characteristics n (%)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t or F p
Mean ± SD
Gender -1.14 0.262
 Female 181 (86.2) 3.76 ± 0.56
 Male 29 (13.8) 3.94 ± 0.79
School year -0.41 0.682
 3rd 101 (48.1) 3.77 ± 0.59
 4th 109 (51.9) 3.80 ± 0.61
Religion -2.33 0.021
 Yes 147 (70.0) 3.84 ± 0.63
 No 63 (30.0) 3.65 ± 0.50
Health state 1.55 0.215
 Very good 39 (18.6) 3.83 ± 0.53
 Good 108 (51.4) 3.83 ± 0.66
 Usual 63 (30.0) 3.67 ± 0.52
Type of residence 1.95 0.053
 Home 164 (78.1) 3.83 ± 0.60
 Others 46 (21.9) 3.63 ± 0.59
Motivation on choice of nursing 1.20 0.311
 Suitable school grades 20 (9.5) 3.85 ± 0.71
 Employment 106 (50.5) 3.69 ± 0.55
 Recommendation of others 30 (14.3) 3.85 ± 0.60
 Appropriate aptitude 35 (16.7) 3.94 ± 0.74
 Social service 8 (3.8) 3.85 ± 0.50
 Others 11 (5.2) 3.87 ± 0.33
Major satisfaction 5.66 0.004
 Satisfied 108 (51.4) 3.90 ± 0.59b (a<b)
 Moderate 80 (38.1) 3.72 ± 0.61a
 Dissatisfied 22 (10.5) 3.47 ± 0.41a
Previous semester grade 0.71 0.493
 2.0-2.9 29 (13.8) 3.91 ± 0.42
 3.0-3.9 166 (79.1) 3.76 ± 0.62
 ≥ 4.0 15 (7.1) 3.78 ± 0.61
Interpersonal relationship 0.77 0.464
 Very good 44 (21.0) 3.84 ± 0.49
 Good 121 (57.6) 3.74 ± 0.56
 Moderate 45 (21.4) 3.85 ± 0.78

SD, standard deviation.

Table 2.
The status of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n=210)
Variables Range Min-Max Mean ± SD
Self-efficacy 1-5 2.00-5.00 3.57 ± 0.67
Organizational commitment 1-5 2.17-5.00 3.39 ± 0.64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1-5 3.00-5.00 3.82 ± 0.54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1-5 2.45-5.00 3.78 ± 0.60

SD, standard deviation.

Table 3.
Correlations with self-efficacy,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n=210)
Variables 1 2 3
1. Self-efficacy
2. Organizational commitment 0.27**
3.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0.29** 0.67**
4.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0.22** 0.60** 0.57**

** p<0.01.

Table 4.
Factors influencing of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n=210)
Variables Model 1
Model 2
B SE β t (p) B SE β t (p)
(Constant) 2.81 0.23 12.30 (< 0.001) 0.86 0.27 3.24 (< 0.001)
Religion 0.26 0.09 0.20 2.89 (0.004) 0.19 0.07 0.14 2.69 (0.008)
Major satisfaction 0.23 0.06 0.26 3.89 (< 0.001) 0.10 0.05 0.12 2.12 (0.035)
Organizational commitment 0.35 0.07 0.38 5.30 (< 0.001)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0.33 0.08 0.29 4.15 (< 0.001)
Adjusted R2 0.08 0.43

SE, standard error.

Religion (0=no, 1=yes),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a major (1=dissatisfied, 2=moderate, 3=satisfied).

REFERENCES

1. Bantell MD. Clinical evaluation methods used by baccalaureate nursing educators in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clinical areas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Columbia, 2005.

2. Nath C, Schmidt R, Gunel E.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vary most with educational rank and age. J Dent Educ 2006;70(8):825-834.
pmid
3. Kim YH. Relationship of self efficacy, self-directedness and practice satisfaction to clinical practice education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9;16(3):307-315. (Korean).

4. Park KJ. The experience of parenteral medication administration by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2014.

5. Kown IS, Seo YM. Nursing students’ needs for clinical nursing education.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2;18(1):25-33. (Korean). Doi: 10.5977/jkasne.2012.18.1.025
crossref pdf
6. Park JW, Kim KS, Bang KS. Preceptor’s perception of student preceptorship and comparison of perception of the students’ clinical competence readiness between nurses and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0;16(2):213-221. (Korean). Doi: 10.5977/JKASNE.2010.16.2.213
crossref pdf
7. Hyeon YW.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attitude of patient safety, and safety care performance, in nursing students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Korea, 2014.

8.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change. Psychol Rev 1977;84(2):191-215. Doi: 10.1037/0033-295x.84.2.191
crossref pdf
9. Kim EH.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fatigu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 Health Info Stat 2015;40(1):24-36. (Korean).
pdf
10. Lee SJ, Lee JE, Lee MK. The influence of clinical practicum-related stress, and awareness, and self-efficacy on strength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8;24(2):160-167. (Korean). Doi: 10.5977/jkasne.2018.24.2.160
crossref
11. O’ Reilly CA, Chatman J.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attachment: the effects of compliance, identification, and internalization on prosocial behavior. J Appl Psychol 1986;7(1):492-493.
crossref
12. Steers RM. Antecedents and outcom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dm Sci Q 1977;22:46-56.
crossref pmid
13. Choi KS.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on satisfaction and word-ofmouth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Korea, 2010.

14. Lee JY. A study on nurse imag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ing students.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2017;18(3):284-295. (Korean). Doi: 10.5762/KAIS.2017.18.3.284
crossref
15. Organ DW.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ood soldier syndrome. Lexington, MA: Lexington Books; 1988.

16. Park JH, Park CH.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n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 Consumption Culture 2004;7(3):103-124. (Korean).

17. Sherer M, Maddux JE, Mercandantem B, Prentice-dunnm S, Jacobs B, Rogers RW.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 Reports 1982;51(2):663-671. Doi: 10.2466/pr0.1982.51.2.663
crossref
18. Hong HY. The relationship of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depression, the effects of teacher’s guidance attitude on students’ achievement goal class commitment and prosocial organizational behavior Graduate School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1995.

19. Allen NJ, Meyer JP.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 Occup Psychol 1990;63(1):1-18. Doi: 10.1111/j.2044-8325.1990.tb00506.x
crossref
20. MacKenzie SB, Podsakoff PM, Fetter 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bjective productivity as determinants of managerial evaluations of salespersons’ performanc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991;50(1):123-150. Doi: 10.1016/07495978(91)90037-T
crossref
21. Park KD. The effects of teacher’s guidance attitude on students’ achievement goal, class commitment, and prosocial organizational behavior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Korea, 2005.

22. Cho KJ, Kang HS. Study on self-concept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J Korean Acad Nurs 1984;14(2):63-74. (Korean).
crossref
23. Lee SH, Kim SY, Kim JA. Nursing students’ image of nurse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J Korean Acad Nurs Adm 2004;10(2):219-231. (Korean).

24. Park JW, Kim KS, Bang KS. Preceptor’s perception of student preceptorship and comparison of perception of the students’ clinical competence readiness between nurses and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0;16(2):213-221. (Korean). Doi: 10.5977/JKASNE.2010.16.2.213
crossref pdf
25. Kim EH, Suh SR. Fatigue and self efficacy o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 Korea Contents Assoc 2014;14(3):328-336. (Korean). Doi: 10.5392/JKCA.2014.14.03.328
crossref
26. Kim NH, Kim KW. Self-efficacy,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to clinical practice education in nursing students. Korean J Health Serv Manage 2011;5(4):41-51. (Korean). Doi: 10.12811/kshsm.2011.5.4.041
crossref pdf
27. Jeong HW.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g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2007.

28. Kim JO, Kim SY. Person-organization value congruence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of head nurse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2017;23(5):515-523. (Korean). Doi: 10.11111/jkana.2017.23.5.515
crossref
29. Joo YS, Han SS. The effect of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3;19(2):194-202. (Korean). Doi: 10.5977/jkasne.2013.19.2.194
crossref pdf
30. Kim HJ. Study on relations among ethics management,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and business performance of medical institutions establishing medical tourism. J Industr Econ Bus 2012;2(24):41-64. (Korean).

31. Yoo MR, Yoo JA, Kim YM. Study for professionalism,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sychological ownership of nurse officers. J Korean Acad Nurs Adm 2012;18(3):290-300. (Korean).
crossref pdf
32. Park HS, Yun JM, Lee SN, Lee SR, Lee M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nursing students. J Health Info Stat 2018;43(1):35-45. (Korean). Doi: 10.21032/jhis.2018.43.1.35
crossref pdf
33. Park HJ, Jang IS. Stress, depression, coping style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0;16(1):14-23. (Korean). Doi: 10.5977/JKASNE.2010.16.1.014
crossref pdf
34. Ko YJ, Kim IK.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nursing valu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1;17(1):62-71. (Korean). Doi: 10.5977/JKASNE.2011.17.1.062
crossref pdf
35. Yang NY, Moon SY.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Nurs Adm 2011;17(2):216-225. (Korean).
crossref pdf
36. Koo HY, Im HS. Comparison of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between associate and bachelor nursing students. J Korea Contents Assoc 2013;13(1):311-321. (Korean). Doi: 10.5392/JKCA.2013.13.01.311
crossref
37. Fernandes Pereira FG, Nunes Caldini L, Di Ciero Miranda M, Áfio Caetano J. Assessment of stress in the inclusion of nursing students in hospital practice. Invest Educ Enferm 2014;32(3):430-437. Doi: 10.17533/udea.iee.v32n3a08
crossref pmid
Editorial Offic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680 gukchaebosang-ro, Jung-gu, Daegu, 41944, Korea
E-mail: koshis@hanmail.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Developed in M2PI